[한문] 논어 레포트

 1  [한문] 논어 레포트-1
 2  [한문] 논어 레포트-2
 3  [한문] 논어 레포트-3
 4  [한문] 논어 레포트-4
 5  [한문] 논어 레포트-5
 6  [한문] 논어 레포트-6
 7  [한문] 논어 레포트-7
 8  [한문] 논어 레포트-8
 9  [한문] 논어 레포트-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문] 논어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공자와 논어
1) 공자
2) 논어
Ⅱ. 사상
1)예(禮)를 통한 인덕(仁德)의 수양과 실천
2) 가장 중요한 개념 - 인(仁)
Ⅲ. 논어에 나타난 구문 엿보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공자와 논어
1) 공자
공자(孔子, 552~479 B.C.)는 중국 춘추 시대 말기에 노(魯)나라에서 태어났다.
공자의 이름은 이름은 구(丘). 한편 그의 자는 중니(仲尼)이다. ‘자’는 남자 나이 스물이 되면 성인이 되었다며 성인식을 치러주는데 이때 이름과 연관된 뜻을 가지고 ‘자’를 지어준다. ‘중니(仲尼)’라는 뜻으로 미루어 공자는 둘째였을 것이다. 중(仲)이 ‘버금-중’이기 때문이다. 문헌에 의하면 그의 형은 불구자였다고 한다.
공자의 아버지는 제(齊)나라와의 싸움에서 공을 세운 부장(部將)이었으나, 공자가 3세 때 세상을 떠났다. 어릴때부터 가난하게 자란 공자는 창고지기와 목부(牧夫) 노릇을 하며 스스로 학문에 힘썼기 때문에 별도의 스승은 없었다.
공자는 주(周) 나라와 주공(周公)의 전통과 예법을 익히기 위해 노력했으며, 꾸준히 수양을 쌓아 점차 유명해졌다. 당시는 춘추 시대 말기로서 열두 나라의 제후가 각기 패권을 다투었으며, 무정부적 혼란기가 지속되던 시기였다. 여기에 심한 반감을 느낀 공자는 하(夏). 은(殷). 주(周) 3대의 정치 형태를 이상적인 국가 형태로 삼았다.
공자는 35세 때 제(齊)나라로 가서 여러 해 동안 머물렀다가, 42세 때 노나라에 정공(定公)이 즉위하자 고국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50세가 지나서야 중용(重用)되어 정치가로서 탁월한 수완을 발휘했다. 공자는 당시 노나라의 실력자인 3중신의 세력을 누르고, 주공의 정신을 받들어 질서 있는 문화 국가를 건설하려고 했다. 그러나 공자의 이러한 계획은 실패하여 기원전 497년 55세 때 실각하고 말았다.
그 후 14년간 공자는 제자들을 데리고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유세(遊說)를 통해 자신의 이상을 실현시켜 줄 제후를 찾았다. 그러나 68세 때 그것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고향으로 돌아가 제자들을 가르치는 데 전념하다가, 73세 때 세상을 떠났다.
공자의 제자는 모두 3,000여 명에 이르렀는데, 특히 육예(六藝: 禮. 樂. 射. 御. 書. 數)에 뛰어난 문인(門人)이 72명이라고 한다. 그의 언행은 를 통해 전해지며, 그의 사상을 알 수 있는 확실한 자료도 밖에 없다.

2) 논어
공자가 비록 학자였다고 해도 그가 저술한 책은 한 권도 없다. 도 공자가 생전에 편찬한 것이 아니라, 그의 제자들이 공자가 죽은 뒤 그를 위해 편찬했다. 의 ‘논(論)’이 ‘편찬했다, 편집했다’이고 ‘어(語)’가 말씀이라는 뜻이므로 ‘말씀을 편찬한 것’으로 라는 제목에서도 공자가 직접 저술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현재의 는 공자가 죽은 지 100년 후에 편찬된 공자의 이야기 모음집이라고 할 수 있다.
의 문장은 대부분 짧으면서도 의미가 유장한 문답체이다. 는 모두 20개의 장(章)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 20편을 어떤 기준에 따라 나누었다기 보다는 예전 필사 도구가 죽편이었기에 적당한 양으로 묶어 이름을 붙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럼 논어는 언제 편찬되었는가?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설은 ‘전국 시대 유가 학자들이 편찬했다’는 설이다. 청대의 최술은 전반부 10편은 비교적 초기에 편찬되었고, 후반부 10편 중에서도 특히 마지막 5편은 비교적 늦게 편찬되었다고 주장한다. 우선, 전반부 10편은 문장이 간단하고 짧으나, 마지막 5편은 긴 문장이 자주 등장한다. 또한 전반부 10편은 공자의 말을 일률적으로 “자왈(子曰 )”이라 칭하지만 후반부에는 “공자왈(孔子曰)”이나 “부자왈(夫子曰)”이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후반부 10편은 오류가 있다. 공자와 타인과의 대화에서 시대상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마지막으로 전반부 10편 중 8편은 주로 기언(記言)을 위주로 하고 있는 반면, 나머지 2편은 기사(記事)의 경향이 있다. 전반부 8편을 편집하고 나머지 2편으로 보충설명을 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1편부터 다시 기언이 시작되고 있다.

Ⅱ. 사상

1)예(禮)를 통한 인덕(仁德)의 수양과 실천
공자는 춘추 시대 말기의 어지러운 혼란을 극복하려면 주(周)나라 초기의 제도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공자가 단순히 과거에만 집착했다면, 그의 사상은 수천 년
참고문헌
박민영, 『논어로 배우는 한자』, 자우출판사, 2001
이인호, 『논어 30구, 유쾌하게 공자 읽기』, 아이필드, 2005
이수태, 『논어의 발견』, 생각의 나무, 1999
정대환(1984), 『논어에 비친 공자의 인간성 - 인의 (仁) 경지와 그 행동적 성향』,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철학연구, Vol.8 P 185~ 220
http://210.99.156.1/home/yjkim/kongja-index.html
http://my.netian.com/~kshcow/
http://blog.naver.com/3x8?Redirect=Log&logNo=120024891348
http://blog.naver.com/sniperhyun?Redirect=Log&logNo=110003582143
http://cafe.naver.com/gau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8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