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1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1
 2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2
 3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3
 4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4
 5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5
 6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6
 7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7
 8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8
 9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9
 10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10
 11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11
 12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감상문
  • 2009.04.30
  • 12페이지 / hwp
  • 2,000원
  • 6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인문학] [지리]역사적시점에서 바라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답사코스
Ⅱ. 들어가며
Ⅲ. 왕성의 자리로 대세였던 몽촌토성
1. 몽촌토성
가. 위치와 규모
나. ‘몽촌’이라는 이름의 유래
다. 백제의 역사와 같이하는 몽촌토성
라. 토성의 목조방식
마. 발굴된 유물
바. 성내부 시설물
1) 수혈주거지 2) 온돌건물지 3) 저장공
4) 해 자 5) 목 책
사. 현황 및 전망
Ⅳ. 몽촌토성이 왕성으로 위치하기에 불합리한 점
Ⅴ. 미궁에 빠진 왕성의 위치와 떠오르는 풍납토성
1. 풍납토성의 위치와 규모
2. 풍납토성이 알려지기 시작한 계기
3. 백제 사람들의 우수한 토목기술을 보여주는 성벽
4. 수준 높은 문화를 보여주는 유물
5. 백제시대 가장 빠른 유적
6. 왕성이 위치하기에 불합리한 점
7. 풍납토성의 현황과 전망
Ⅶ.참고문헌
본문내용
Ⅳ. 몽촌토성이 왕성으로 위치하기에 불합리한 점
몽촌토성은 여러 측면에서 한성시기의 왕성으로 왕궁이 있었을 가능성이 짙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를 직접적으로 뒷받침해주는 궁궐이나 관청이 있었던 대형 건물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권위 있는 건물에서만 사용되는 기와가 출토되어 신분이 높은 사람이 머문 건물이 있었음은 확실하다. 기와가 출토되었다는 것은 그 자리에 국가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건물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리가 너무 좁고, 성안 쪽이 대부분 저지대여서 왕궁이나 민가가 위치하기에는 마땅치 않다. 그리고 출토된 토기들은 200년대 중후반경에 제작되거나 사용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각종 역사서의기록을 보면 백제 건국은 이보다 한참 전이며, 최근 발굴 성과에 의하면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몽촌토성 것보다 앞서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몽촌토성보다는 풍납토성이 초기 왕성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Ⅴ. 미궁에 빠진 왕성의 위치와 떠오르는 풍납토성
백제는 고구려에서 내려온 유이민들이 세운 국가였다. 온조와 비류를 중심으로 하는 세력들이 고구려에서 왕족들간의 권력다툼에서 밀려나자 새로운 땅을 찾아 남하하여 기틀을 자바 나간 나라다. 그러나 아직까지 건국 당시의 왕성과 백제가 발전함에 따라 옮긴 한성시기 왕성의 위치를 명확히 밝히지 못한 실정이다.

1. 풍납토성의 위치와 규모
풍납토성은 서울 올림픽대교 옆에 있는 토성으로 사적 11호이며, 몽촌토성과 함께 한강 유역에 남아 있는 백제 초기 유적이다. 이 토성은 북서쪽으로 한강을 끼고 강안을 따라 축조된 길이 3.5Km에 내부 면적이 22만 6000여 평에 달하는 초대형 토성이다.
참고문헌
Ⅶ. 참고문헌
- 단행본
1. 서울의 성곽,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4
2. 정말 거기에 백제가 있었을까, 고래실, 2004
3. 풍납토성 500년 백제를 깨우다, 김태식, 김영사, 2001
4. 풍납토성 잃어버린 왕도를 찾아서, 국립문화제 연구소, 서울역사발물관, 2002
5. 백제의 도성, 이형구, 주류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