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평(New Criticism)

 1  신비평(New Criticism)-1
 2  신비평(New Criticism)-2
 3  신비평(New Criticism)-3
 4  신비평(New Criticism)-4
 5  신비평(New Criticism)-5
 6  신비평(New Criticism)-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비평(New Criticism)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역사적 배경
2. 신비평의 출발
3. 신비평의 원리
4. 신비평의 중심개념
5. 방법론
6. 한국적 수용
7. 신비평의 문제점
본문내용
1. 역사적 배경
형식주의, 존재론적 비평, 맥락주의(contextualism)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우는 신비평은 1920년대에 엘리엇(T.S.Eliot), 리챠즈(I.A.Richards)의 영향을 받아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문학비평 운동이다.
1941년 랜섬(John Crowe Ransom)이 『신비평』을 출판하였으며 1950년대까지 전개되었다. 신비평이라는 용어는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현대 비평가들의 작업에 적용되지만, 넓게는 작품에 대한 전기적이거나 역사적인 접근이 아닌 텍스트의 내적 특성을 밝히고 텍스트를 꼼꼼히 읽으려는 비평가들의 작업에 적용된다.
1)엘리엇의 영향
「전통과 개인의 재능」,「비평의 기능」등 엘리엇의 평론은 신비평 이론의 토대가 된다. 그는 시가 특수한 인간들의 개성을 노래한다는 낭만주의적인 태도를 비판하면서 정직한 비평, 감성이 있는 비평은 시인에 대해서가 아니라 시 그 자체를 겨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작품의 발생과정에 대한 관심이나 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영향 등에 대한 관심에 대해서 비판을 하고 있다.
엘리엇은 과학만이 지식을 생산한다는 과학적 실증주의에 대해 언급하면서, 시인들은 언어를 과학과 다르게 사용하며, 시적 지식은 사실에 토대를 둔다는 주장을 하였다.
엘리엇이 강조하는 것은 ‘감수성의 분열’, ‘객관적 상관물’, ‘역사의식’, ‘개성으로부터의 도피’ 같은 개념들에 대한 현대적 인식이다.
①감수성의 분열 : 시인들은 어떤 종류의 경험이든 용해시킬 수 있는 ‘통합된 감수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17세기 밀튼, 드라이든 같은 시인들에 의해 감수성이 분열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하였다. 이라는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7세기 이전의 영시와 그 이후의 시들을 대조하여 사고와 감정이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즉 지성이 없고 정서만을 노래한다던가, 정서가 없이 지성의 세계만을 읊는 것을 배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활, 현대문학이론과 의미의 부재, 탑출판사
이승훈, 현대비평이론, 태학사
브룩스 외, 이경수 외 옮김, 신비평과 형식주의, 고려원
권혁준, 「신비평이 한국 시교육에 미친 영향과 전망」, 비평문학 제10호
류순태, 「전후 모더니즘 시론에 미친 신비평의 영향 연구」, 한국문화 제33집
이윤섭, 「T, S, 엘리엇과 뉴크리티시즘 : 정신과 언어의 창조적 역할에 대한 상이한 관점에 대하여」, T, S, 엘리엇 연구 제5호
백현국, 블로그 시와 이차 질서 물 위에 뜬 낙엽, http://blog.empas.com/namuep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