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

 1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1
 2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2
 3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3
 4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4
 5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5
 6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6
 7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7
 8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8
 9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9
 10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10
 11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11
 12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12
 13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13
 14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14
 15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15
 16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심리학] 4장. 사회적 추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4장 . 사회적 추론
Ⅰ. 정보의 수집
(1)신념과 선입견의 영향
①Kulechov 효과
②신념의 집요성
(2)정보의 수집
① 확증적 가설 검증 방략
② 표본의 편파성
③표본의 크기
④사례 대 통계 정보
Ⅱ. 정보의 취합 과정
(1) 사상 간의 관계 파악
①상관의 착각
(2) 통제감의 기능
①통제감의 욕구
②통제감의 상실
③공편한 세상
Ⅲ. 일상의 추론과 판단
(1) 사회도식의 활용
① 도식적 처리의 기능
② 도식적 처리의 문제점
(2) 일상에서의 판단에 대한 자신감
① 스스로에 대한 판단의 정확성
② 과신현상
③ 정당화 할 수 없는 자신감
④ 과신현상의 수정
(3) 정서가 판단에 미치는 영향
Ⅳ. 일상의 판단은 효율성을 추구 : 휴리스틱의 사용
(1) 대표성 휴리스틱
①대표성 휴리스틱의 빈번한 사용 이유
②교집합의 오류
(2) 가용성 휴리스틱
①생생한 정보의 효과
②정보의 가용성
(3) 모사 휴리스틱
(4) 닻 내리기 휴리스틱
Ⅴ. 일상의 판단에서 나타나는 직감적 사고와 그 가치
(1) 일상적 추론의 놀랄 만한 적응력
(2) 추론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본문내용
사람들은 생활 속에서 크고 작은 결정을 내린다.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지니고 있는 정보들을 고려하여 판단을 한다. 여기에서 사람들이 환경속의 사회적 정보(예, 사람이나 사건)로부터 어떻게 추리하고 판단하는지를 연구하는 분야로 통칭 ‘사회적 인지(social cognition)’라고 부르며, 사회적 정보로서 보이지 않는 특성을 어떻게 판단 혹은 추리하는지를 다루는 분야이다. 1980-90년대 가장 왕성하게 연구된 분야로 사회적 추론 과정은 크게 ①정보수집, ②추론에 사용할 정보결정, ③정보통합의 3단계를 거치는데, 인간의 정보처리 능력은 한계가 있어서 완벽하게 처리하지 못하고 비논리적이고 주먹구구식 전략들을 주로 사용한다. 이런 전략을 사용하면 많은 양의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하게 되는 장점은 있으나 잘못된 판단을 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판단들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겠다.

Ⅰ. 정보의 수집

Hanson이나 Sellars 등의 과학철학자들은 우리들이 관찰이 이론의존적(theory-laden)임을 지적한다. 우리가 접하는 현상의 객관적 실체는 있지만, 이치라는 렌즈를 통해서 그 현상을 파악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1)신념과 선입견의 영향

사람들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대상자극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입견이나 도식들을 적용시켜서 적극적으로 파악한다.

①Kulechov 효과: 영화촬영효과
러시아의 영화감독인 Kulechov는 사람들의 사전기대에 의해 같은 장면에 대한 해석이 크게 달라지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이용해서 영화를 제작하였다고 한다. 이를테면, 그는 무표정한 남자의 얼굴을 보여주기 전에 죽은 여인을 보여주거나, 여자아이가 노는 것을 보여주거나, 수프 한 그릇을 보여주면, 그 남자의 얼굴이 각기 이전에 무엇을 관객이 보았느냐에 따라 슬프게, 행복한 혹은 사색에 빠진 것으로 지각되는 것을 촬영에 이용한 것이다. 사람들이 낯선 대상을 접하는 경우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입견이나 도식들을 적용시킨다는 것을 잘 알려진 심리학의 원리이다. 이러한 예들은 어떠한 관점을 취하는가에 따라 대상인식에 달라지는 것을 잘 보여준다.
- Lord, Ross & Lepper(1979)의 실험
: 스탠포드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형판결에 대한 의견을 물어서 찬성자와 반대자를 구분하고, 사형판결의 효과에 관한 연구를 보여줌.

→ 찬성자나 반대자 모두 자신의 생각을 지지하는 결과는 그럴 것이라고 순순히 받아들인 반면, 자신의 생각과 반대되는 결과에 대해서는 비판적이고 여러 가지 이유로 그 연구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가역성도형의 사례: 취하는 시각. 기대감이 작용하여 대상을 새롭게 구성함


②신념의 집요성
우리가 지닌 신념이 잘못된 것이었을 때 쉽사리 그 신념을 털어버릴 수 있다면 문제는 덜 심각하다. 그러나 일단 받아들인 신념은 놀라울 정도로 오래 지속된다. 즉, 특정 대상이나 현상에 대해 신념(태도)이 형성되어 지면 변화되기 힘들다.

- Anderson Lepper & Ross(1980)의 실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