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

 1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
 2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2
 3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3
 4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4
 5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5
 6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6
 7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7
 8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8
 9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9
 10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0
 11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1
 12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2
 13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3
 14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4
 15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5
 16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6
 17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7
 18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8
 19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19
 20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복지의료사회] 인격장애에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인격장애란?

2.A군 인격장애

3.B군 인격장애

4.C군 인격장애
본문내용
1. 인격장애 (personality disorder)란?

대부분의 사람들에서 발견되는 범위를 넘어선 인격특징들의 한 변형이거나 극단적인 모습.


현실로부터 위축
사회적 가치나 기준에서 벗어남-> 사회규범에 어긋나는 행동
자신에게 만족을 주지 못하는 방법으로 대처함으로써 부적응 상태를 보일 때



★DSM-IV에 따른 인격장애의 진단기준
A. 내적 경험과 행동의 지속적인 형태가 개인이 속한 문화에서 기대되는
바로부터 현저하게 편향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다음의 사항 중 둘(또는 그 이상)의 분야에서 나타난다.
(1) 인지(예 : 자신과 다른 사람 및 사건을 지각하는 방법)
(2) 정동의 정도(예 : 감정반응의 범위, 불안전성, 적절성)
(3) 대인관계상 기능 (4) 충동의 조절
B. 지속적인 형태가 개인의 사회상황의 전 범위에서 경직되어 있고 전반적으로 나타난다.
C. 지속적인 형태가 심각한 곤란과 사회, 일 및 기타 중요한 기능분야에서의 장애를 유발한다.
D. 형태는 안정적이고 오랜 기간 동안 있어 왔으며 그 시작은 최소한 청년기 혹은 초기 성인기부터 시작된다.
E. 지속적인 형태는 기타의 정신질환의 현상이거나 결과로써 더 잘 설명되어서는 안 된다.
F. 지속적인 형태는 물질(예 : 약물남용, 투약)의 직접적이고 생리적인 효과나 일반적 의학적 상태 (예 : 두부손상)에 의하지 않는다


1) 편집성 장애

◆개념
-타인의 행동-> 계획된 요구나 위협 지속적인 의심과 불신
-고집쟁이, 부정행위 수집가, 배우자에 대한 병적 질투심을 갖는 자, 소송을 좋아하는괴짜등

◆역학
-유병률: 0.5~2.5% -남자에 많음
-가족에 정신분열병 빈도가 높음 -동성애자, 소수민족, 이민자, 귀먹은 사람에 많음.

◆원인
-어린 시절 부모의 불합리한 분노에 짓눌러 그 분노를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게 된 결과

◆임상양상
-타인의 행동을, 의도적으로 자기를 기죽이려는 행동이나 위협하는 행동으로 해석.
-남들이 자신을 괴롭히고 착취하고 해치려 한다고 생각.
-정당한 이유 없이 의심. -질투도 심하다.
-제한된 정서반응을 보임


◆치료
-편집성 인격장애 환자의 치료는 정신치료가 좋음.
-언제나 지지적이고, 참을성 있게 귀기울이며, 개방적이고, 정중하고 솔직하며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함.
-환자의 심층에 놓여 있는 의존성이나 성적 관심 또는 친밀감에 대한 욕구를 깊이
분석해 들어가는 것은 환자의 불신감을 조장할 수 있음.
-치료자는 환자에게 무기력하다는 인상을 주어서도 안 되며 그렇다고 너무 위압적이거나
위협적인 태도를 취해서도 안 된다.
-집단 치료는 맞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