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철학 - 대중문화

 1  [교양] 철학 - 대중문화-1
 2  [교양] 철학 - 대중문화-2
 3  [교양] 철학 - 대중문화-3
 4  [교양] 철학 - 대중문화-4
 5  [교양] 철학 - 대중문화-5
 6  [교양] 철학 - 대중문화-6
 7  [교양] 철학 - 대중문화-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양] 철학 - 대중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대중문화의 개념․․․․․․․․․․․․1
Ⅱ. 대중문화와 X세대 문화 ․․․․․․․․3
Ⅲ. 결론 ․․․․․․․․․․․․․․․․․6
※ 參考文獻 ․․․․․․․․․․․․․7
본문내용
Ⅰ. 대중문화의 개념
대중문화에 대한 개념 및 정의는 국내외 학자의 관점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다. Herbert Gans는 그의 책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에서 대중문화(mass culture)는 그 어원이 독일어 Mass(대중)와 Kultur(문화)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면서 Mass는 유럽 사회에서 비귀족적이고 교육받지 못한 계층으로 노동자와 빈자를 뜻하는 말이며 Kultur는 현대 인류학이나 사회학이 말하는 행동양식으로서의 문화가 아니라고 하면서 미국식의 고급문화(high culture)에 가까운 뜻이며 과거 서구사회에서 귀족과 엘리트들이 즐기던 고상한 예술 및 문화를 나타내는 것인데 이와같은 고상한 문화의 뜻인 Kultur에 교육적으로 열등한 집단이 Mass를 앞에 붙여 만든 mass culture는 문화적으로 세련되지 못한 다수가 수용하는 문화를 뜻한다고 하였다.
Dwight Macdonald는 대중문화를 시장에 팔기 위한 가공된 문화라고 하였다. 대중 문화는 대중매체를 개발하여 대량소비를 겨냥한 제품이라는 것이다.
Edward Shils는 대중사회에 있어서의 문화를 우수문화, 범속문화, 저속문화로 삼분하였다. 우수문화란 정제된 문화라고도 하며 주제를 진지하게 다루는데 문제에 대한 집중성, 예리한 통찰력, 지각의 긴밀성, 풍부한 표현 등의 진지함이 그것이다. 예를 들면 시, 소설, 철학, 과학, 조각, 회화, 작곡가 연주, 극작가 공연, 역사적 정치․경제적분석, 기타 예술인들의 작품들이 여기에 속한다. 범속문화는 우수문화에 적용되었던 평가 기술을 적용하지 못하고 우수문화에 비해 비독창적이며 재생산적이다.
분야로 보면 우수문화와 다른 점은 없으나 뮤지칼 코메디 같은 우수문화에는 없는 새로운 분야의 내용물들이 출현다. 저속문화는 표현의 상징적 정교함이 보다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다. 삽화, 조형, 예술, 음악, 시, 소설 등 우수문화 또는 범속문화와 같은 형태도 있으나 게임이나 경기관람 같은 상징성이 극히 낮은 내용이며 보다 적접적으로만 표현되는 행위내용의 문화등이 이 범주에 들어간다. 여기에는 통찰력도 정교한 맛도 없으며 감수성과 지각 정도도 극히 평범한 수준이다. 상징적 표현방법이 극소하게 이용되며 보다 직접적인 표현을 쓴다.
Michael R.Real은 mass mediated culture라고 대중문화를 표현한다. 즉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문화란 뜻이다. 그는 대중문화는 인간개체에게는 순간적으로 전달되는 것이고 사회체제에서는 널리 확산되는 것이며 아주 지적인 대상일 수도 있고 아주 경박한 대중의 행위도 포함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상업미디어의 가치표현일 수도 있고 국가나 정부의 이데올로기적 표현일 수도 있으며 그 조직의 위계적 구조가 그대로 창조과정에 옮겨지는 문화이기도 하다. 이 대중매체 문화는 대중문화 내용이 사회에 미치는 좋고 나쁜 영향에 관해서는 무관한 것이며 그러한 영향의 비중은 내용보다는 매체 쪽에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Real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민중문화간의 기원도 명확히 그을 수 없다고 한다. 한편 국내 학자들은 70년대부터 활발하게 대중문화를 연구해 왔으며 많은 연구논문, 저서, 역서가 출판되었다.
이상회 교수는 대중문화의 특성으로 네가지를 들고 있다. ①대중이 형유하는 문화로서의 대중문화, ②대중사회에서 생성되는 독특한 문화, ③문화의 대중화 현상, ④미스미디어에 의한 문화로 특징짓고 있다.
원우현 교수는 한국의 대중문화에 관하여 서구의 대중문화 발달 단계가 한국의 그것과 전혀 다르면서도 서구의 대중문화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하면서 전통의 맥락과 단절된 외래문화의 이식으로 형성된 문화, 대중매체의 보급과 함께 일반화된 문화이며, 이러한 대중문화의 이식과 성장이 이루어진 간접적 바탕은 정치, 경제 구조의 변동과 이에 따른 사회 구조의 변동, 국민의 의식구조의 변동이 중대한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최정호 교수는 대중문화는 대중의 자발성과는 거리가 먼 문화사업을 손에 쥐고 있는 소수 엘리트들의 계획생산에 의해서 보급 되고 있는 문화라고 풀이하면서 대중은 오직 대중문화의 소비자일 따름, 그 생산자는 아니며 대중문화의 객체이지 주체는 아니라고 설명하고 오늘날 대중문화의 문제는 다만 대중매체를 장악하고 있는 매체산업의 사사로운 기업이윤의 관심 대상에만 그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대중문화가 문화의 산업으로서 수공업이나 가내공업의 규모가 아니라 문자 그대로 산업적 규모로 대량생산되고 있다는 사실은 바로 그것을 받아들이고 있는 사람들의 의식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참고문헌
※ 參 考 文 獻

- 이상희, “문화형태의 방향”, 연세춘추, 1981.2.
- 이상희, “유형적 대중문화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문학보』4집, 한국신문
학회, 1997.
- 원우현, “대중문화와 광고”, 『산업사회와 대중문화(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 박기성, “대중문화론의 유형”, 박기성,『문화커뮤니케이션과 대중문화』, 평민
사, 1983.
- 최정호, “대중사회와 대중문화”, 『언론문화와 대중문화』, 민음사, 1892.
- 김경동, “대중사회와 대중문화”, 『사상계』, 사상계사, 196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