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

 1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1
 2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2
 3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3
 4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4
 5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5
 6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6
 7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7
 8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8
 9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9
 10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10
 11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11
 12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12
 13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13
 14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러시아문화] 고려인들의 어제와 오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과거의 고려인
1.1 러시아 극동으로의 이주사
1.1.1. 러일전쟁 이전
1.1.2. 러일전쟁 이후
1.2. 10월 혁명과 고려인의 활동
1.3. 강제이주
1.4. 중앙아시아에서의 시련과 극복
2. 현재의 고려인
2.1. 한민족으로서 자신의 문화를 알리고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들
2.2. 고려인들의 화려한 성공 스토리
2.3. 성공한 그들의 모습
2.4. 고려인의 현실과 과제

결론
본문내용
서론

고려인, 카레이스키는 구소련 붕괴 후의 독립국가연합 전체에 거주하는 한민족을 이르는 말이다. 이들 국가에는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우크라이나, 몰도바 등이 포함된다. 약 50만 명의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거주하였으며, 남부 러시아의 볼고그라드 부근, 코카서스, 남부 우크라이나에도 많은 고려인들의 공동체가 존재한다. 이들 공동체는 19세기말의 극동 러시아에 거주하던 고려인에 기원한다.
사할린 섬에도 독립된 한민족 사회가 있다. 1800년대 후반에서 1900년대 초의 이주민으로 구성된 러시아 본토의 공동체와는 달리, 사할린의 한민족은 주로 1930년대와 1940년대에 경상도와 전라도에서 이주하였다. 이들은 제2차 세계대전의 노동력의 부족을 메우기 위해 제국주의 일본에 의해 강제로 사할린의 탄광에 끌려가 노역하였다.
본 발제지에서는 현재 러시아 본토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의 이야기를 주로 다루었다.


본론

1. 과거의 고려인

1.1 러시아 극동으로의 이주사

1.1.1. 러일전쟁 이전

한인이 러시아 지역으로 이주한 역사는 1860년대 초에 시작된다. 그러나 이는 문서상의 시작이고, 사실상 연해주에서 한인들이 최초로 살게 된 시점은 1860년 북경 조약이 있기 훨씬 앞에서부터였다. 조선왕조가 외부인과의 접촉과 해외이주를 엄격히 금하긴 하였지만 러시아와 중국과의 접경지대에 거주했던 일부 조선인들은 산삼을 찾아 나서거나 사냥을 하기 위해 러시아 극동지역의 국경을 넘나들었다.
러시아는 1860년 청국과 베이징 조약을 체결해서 연해주지역을 자신의 영토에 포함시켰다. 연해주 일대는 1860년대를 전후해서 러시아 영토로 편입될 무렵까지 인구가 거의 1만2천여 명에 불과한 거의 무인지경의 미개척지였다. 청국과의 조약으로 연해주가 러시아의 영토로 편입된 후 차르정부는 ‘극동지역의 개척과 정주화’라는 실질적인 과제를 안게 되었지만 농노제를 유지하면서 극동지역으로 농민들을 대거 이주시키는 것은 불가능했다. 1858년 차르정부는 극동지역으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농노신분을 해방시켜준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특별 법안을 마련하였지만, 이는 실현되지 못하였다. 1861년에는 을 제정하여 이 지역으로 이주하는 모든 이들에게 특혜를 제공하기로 하였다. (이것은 1901년까지 적용된다.)
하지만 연해주 개척은 매우 더디게 진행되었고 처음 몇 년간은 심각한 인력난을 겪는다. 바로 이때 조선의 이북지역으로부터 최초의 한인 이주자들이 봉건군주의 잔혹한 횡포를 피해 러시아와 만주의 접경지대로 몰려들게 되었다. 러시아 당국은 한인 이주자들의 기여에 만족하였으며, 극동 지역에서의 처녀지 개간과 식량 확보를 위한 값싼 노동력으로서 한인 이주자들을 유치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하게 되었다. 하지만 한인들의 이주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자, 연해주에서 발생할지도 모르는 정치적, 경제적 마찰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정치적으로는 자국민들이 이주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했던 조선정부와의 마찰을 원하지 않았고 조선과의 국경지대에서 이민족들에게 수적으로 밀리고 싶지 않았으며, 경제적으로는 러시아 이주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비옥한 토지의 부족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였다.

1.1.2. 러일전쟁 이후


참고문헌

김 게르만(2005),「한인이주의 역사」,박영사
진경수(2002),「까자흐스탄의 고려인」,서울대학교 출판부
정동주(1995), 「까레이스끼, 또 하나의 민족사 」,우리문학사
독립기념관 홈페이지
고려인돕기운동본부, http://www.koreis.com/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자료실, http://research.korean.net/
독립국가연합 고려인의 생활과 의식/윤인진/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