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

 1  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1
 2  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2
 3  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3
 4  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4
 5  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5
 6  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6
 7  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7
 8  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인의 생활상과 예술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여는 말

Ⅱ. 고려인 이주역사

Ⅲ. 고려인의 생활상

Ⅳ. 고려인의 공연예술의 중심-고려극장
본문내용
Ⅰ. 여는 말

고려인의 음악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고려인의 이주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중앙아시아의 고려인은 함경도 북쪽 러시아 연해주에서 살던 사람들로서 1937년 스탈린의 강제 이주정책에 의해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키즈 등의 나라들로 이주한 약 20만의 우리 한인들을 말한다. 강제이주 역사와 함께 한인들의 diaspora: 한민족 혈통을 가진 사람들이 모국을 떠나 세계 여러지역 으로 이주하여 살아가는 한민족의 분산
디아스포라가 시작되었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에 약 20만의 동포와 카자흐스탄에 10만의 동포가 살고 있다.
아시아-몽골인, 투르크메니아인, 따따르인, 타지크인-와 유럽인-스라브인, 게르마니아인, 체첸인, 아르메니아인-그리고 이들의 혼혈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에서의 새로운 삶에서 구소련의 이민족 차별 금지법에 의하여 고려인에 대한 눈에 보이는 차별은 거의 없었다고 알려져 있다. 다민족 국가에서의 소수 민족 문화보호 정책에 의하여 1991년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이 독립국가가 된 이후에도 소수민족 문화정책은 계속 지원되고 있다.
다른 지역에 살고 있는 교민들과 비교할 때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음악문화의 우수성에 대해 칭찬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들의 조상들이 조국을 떠난 지 백년이 넘었지만, 고려인들은 이국땅에서 태어나서 고국에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세대들이 우리민족의 언어와 풍습을 지켜왔기 때문이다. 구전으로 전해지는 우리 민요는 입과 입을 통해 계속 불러왔으며, 관혼상제의 잊혀져가는 풍습도 지켜왔고 현재에도 열심히 이어지고 있다. 먼저 고려인 이주역사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고려인의 생활 문화를 알아본다. 또 고려인의 예술 활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공연예술의 꽃인 고려극장을 중심으로 소개해 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국립국악원 소식지 ‘나라밖의 우리문학 󰊵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음악문화’
-193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언론, 공연,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지향성 연구 (역사문화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한겨레신문 (6월 15일자)
-‘러시아의 한인들’ 김지연 사진집

웹사이트:
http://kosa.culturecontent.co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