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 고려가요

 1  [고려가요] 고려가요-1
 2  [고려가요] 고려가요-2
 3  [고려가요] 고려가요-3
 4  [고려가요] 고려가요-4
 5  [고려가요] 고려가요-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가요] 고려가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가요의 정의

2. 고려가요의 형식

3. 고려가요의 구분

4. 고려가요의 수용

5. 경기체가의 내용과 형식
본문내용
1. 고려가요의 정의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 고려가요, 줄여서 여요, 또는 고려장가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등 한문계 시가는 경기체가 또는 별곡체라 하고, 《청산별곡》 《서경별곡》 《만전춘》 《가시리》 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다. 그런데 경기체가와 속요는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가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 ‘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있다. 즉, 신라 사람들이 자기네의 노래를 향가라고 일컬은 것과 마찬가지로, 고려 사람들은 중국계의 악부니 악장이니 하는 정악 또는 아악에 대하여 자기네의 노래, 즉 속악 또는 향악의 노래 이름을 ‘별곡’이라는 말을 붙여지었기 때문이다.《고려사》 에 의하면, 현전하는 《서경별곡》의 내용과는 다르지만 서경과 대동강의 노래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서경별곡》 전반은 서경에 대하여 노래한 것이고, 후반에서는 대동강변에서의 이별을 노래한 것으로 보아 두 개의 비슷한 노래가 구전중에 합쳐진 것으로 짐작된다. 이와 같이 속요는 우리 옛 시가 중에서도 가장 함축성이 있다 할 수 있고, 이러한 함축성은 시와 산문을 구분하여 주는 좋은 요인이 되기도 한다. 현전하는 가요 외에도 가사는 전하지 않고 《고려사》 등에 작품 이름만 전하는 것을 비롯하여, 고려시대의 문학을 대표할 만한 시가 작품이 많았으리라고 추측되나, 이제 그 자취를 찾을 길은 없다.
하고 싶은 말
학업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