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

 1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1
 2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2
 3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3
 4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4
 5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5
 6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6
 7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7
 8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8
 9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9
 10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명칭에 대하여, 전반적 특성과 전개, 작가층과 향유층, 형식적 특성, 내용적 특성, 문학사적 의의, 여음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짜 임 -
Ⅰ. 들어가며
Ⅱ. 명칭에 대하여
1. 고려속요의 명칭
2. 경기체가의 명칭
Ⅲ. 전반적 특성과 전개
1. 속요장르의 전반적 특성과 전개양상
2. 경기체가의 전반적 특성과 전개양상
Ⅳ. 작가층과 향유층
1. 속요의 작자층 · 향유층
2. 경기체가의 작자층 · 향유층
Ⅴ. 형식적 특성
1. 속요의 형식적 특성
2. 경기체가의 형식적 특성
Ⅵ. 내용적 특성
1. 속요의 내용적 특성
2. 경기체가의 내용적 특성
Ⅶ. 문학사적 의의
1. 고려속요의 문학사적 의의
2. 경기체가의 문학사적 의의
Ⅷ. 여음구(=후렴구)
Ⅸ. 나오며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전체적 비교
1. 공통점
2. 차이점
Ⅰ. 들어가며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논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려가요’ 라는 것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고려가요’라는 말을 떠올리면 그 속에서 고려속요와 경기체가를 떠올릴 것인데, 이것이 같은 고려가요에 속한다는 점만 생각하더라도, 그 공통점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고, 하지만 같은 명칭으로는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차이점 또한 내포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고려시대의 우리말 노래 가운데서 경기체가를 제외한 나머지를 통틀어서 속요라고 부르고 있다. 이제 두 장르를 여러 가지 관점으로 묶어서 살펴보고,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각각에 대해 그 특성을 생각함과 함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Ⅱ. 명칭에 대하여
1. 고려속요의 명칭
: 고려속요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길다는 점에서 ‘장가’, ‘고려가요’, ‘속악가사’(이 속에는 고려속요, 경기체가, 무가, 불가, 민요 등이 모두 포함된다), 재미로 지었다는 뜻으로 이해될 수 있는‘여요’, ‘별곡’ 등 다양하게 쓰인다. 이처럼 그 명칭이 다양한 것은 이 장르에 속하는 노래들이 매우 다양한 각각의 성격과 모습을 지니고 있어서 두드러진 양식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 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그 장르적 통일성이 약하다는 해석도 가능하다는 뜻이다. 더구나 기록된 문헌이 궁중음악으로 연행되던 것들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시 사회에서 실제 행해졌을 모습을 생각하면 더욱 다양했을 것이라고 추측도 가능하다.
특히 이렇게 많은 명칭들 중에 ‘별곡’이라는 명칭을 쓰자는 주장도 있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볼 만 하다. ‘별곡’이라는 명칭은 고려가요 작품 명칭에 ··처럼 ‘별곡’이라는 용어가 붙어 있는 작품이 있음에 착안한 발상으로, 이는 의 형식이 고려가요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논거로 주장한 것이지만, 학계에서는 을 독립된 장르인 경기체가로 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편 조선조의 가사 작품에서도 처럼 ‘별곡’이라는 용어의 작품이 적지 않으므로 고려가요의 특성을 드러냄에는 적절하지 못한 듯 하다.
‘속요’란 단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단지 ‘민속가요’를 줄여 붙인 말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를 나쁘게 받아들이면 상층 문화권의 전통가요인 가곡 혹은 시조에 비해 정제되지 못한 노래, 곧 잡스럽거나 속된 하층문화권의 노래를 말하며 그 때문에 ‘속요’ 혹은 ‘잡가’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그 당시에 우리나라가 중국의 문명에 대하여 우상화했음을 떠올린다면, 그렇게 비하하는 의미가 없었더라도 ‘속요’라는 단어가 우리의 문화를 구분지어 주는 것으로 이해 될 수도 있다.
2. 경기체가의 명칭
: 경기체가는 안확이 ‘경기체’라고 이름 붙인 이후 논자에 따라 별곡, 별곡체가, 경기하여가 등 여러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모든 작품이 ‘景 긔 엇더니잇고’라는 구절을 공통적으로 갖는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경기체가’로 부르는 것이 보편화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