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

 1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1
 2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2
 3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3
 4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4
 5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5
 6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6
 7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7
 8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8
 9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9
 10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자본] 서브프라임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Chapter 1. (사회적) 자유주의의 종말

1. 미국 기업의 생산성 & 경쟁력 하락의 원인
2. 정책적 실패와 달러 폭락의 시작

Chapter 2. 월스트리트의 새로운 종교
1. 폴 볼커(FRB의장)의 인플레 잡기
2. 느슨한 규제로 인한 위험
3. 닷컴버블

Chapter 3. 신용버블의 3가지 전조
1. CMO(모기지담보부증권)시장의 붕괴
2. 포트폴리오인슈어런스와 블랙먼데이
3. LTCM(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사)의 파산

Chapter 4. 돈으로 쌓은 둑
1. 그린스펀 풋
2. 사상최악의 부동산버블, 서브프라임모기지
3. 균열의 시작

Chapter 5. 달러의 대폭락
1. 통제력 상실
2. 잉여자금의 향방
3. 국부펀드의 위협

Chapter 6. 붕괴의 시작
1. 헤지펀드, 신용위기의 증폭기
2. 드러나지 않은 폭탄
3. 경착륙1 : 경기침체
4. 경착륙2 : 신용위기
5. 민스키, 폰지와 시장의 논리

Chapter 7. 승자와 패자
1. 거대 사모투자펀드의 등장
2. 소득의 불평등
3. 사회보장제도의 민영화
4. 금융산업의 도를 넘어선 특권

Chapter 8. 시장의 한계
1. 금융규제의 회복
2. 의료정책의 필요성
3. 시장의 한계
본문내용
Chapter 4. 돈으로 쌓은 둑

1. 그린스펀 풋
2000년대 초에 월스트리트의 유행어, “풋”은 상황이 아무리 악화되더라도 자산을 특정 가격에 제삼자에게 팔 수 있는 옵션이다.
[나는 1987년 10월 주식시장 붕괴를 잘 기억하고 있다. 대규모 은행들이 곤란을 겪고 있었으며 모두 신용 위기가 곧 현실화할 것이라 우려하고 있었다. 그에 대한 대응으로 연방준비제도 이사회는 금리를 6주 동안 3회나 인하했다. 1998년 주식시장이 폭락했을 때에도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7주 동안 3회나 금리를 인하하였고 미국과 전 세계의 경제는 10년만에 최고 수준의 성장을 기록했다]
위의 내용은 바로 그린스펀 풋이다. 상황이 아무리 악화되더라도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는 값싼 돈을 충분히 만들어서 곤경으로부터 구해줄 것이다라는 내용.
그러나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게는 실질적인 한계있음.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바뀌면서 고통스러운 침체기가 시작되고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고금리 기조를 유지해야만 하기 때문. 얼마전 그린스펀 전FRB의장은 시장은 정부의 규제 없이도 스스로 규율 할 수 있다고 믿어온 자신의 시장만능 경제관에 오류가 있고, 파생상품에 대한 규제강화에 반대한 것에 대해서도 부분적으로 잘못이 있다고 시인했음.

2. 사상최악의 부동산버블, 서브프라임모기지
2000년대의 부동산버블은 순전히 금융가들이 세상에 불러낸 괴물. 당시 주택담보 대출이 유달리 손쉽게 진행된 영국, 호주, 스페인 등의 국가에서도 부동산버블이 발생했다는 사실이 이를 반증함..

서브프라임 모기지란? 신용도가 일정 기준 이하인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부동산 담보대출로써 신용도가 낮은 만큼 우대금리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하며 즉 빚 갚을 능력이 적은 사람들에게 높은 이자를 받고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해주는 것.



서브프라임 발생원인은? 위와 같이 서브프라임 발생원인으로는 미 주택시장이 호황을 이루면서 무리한 대출을 통한 과도한 투자가 원인. 이에 위기를 감지한 FRB가 금리 인상을 하였고 과도한 대출을 한 개인들은 부실이 커지면서 대출금 상환이 불가피 해지고 이에 금융기관들의 파산과 전세계적으로 금융위기로 이어지게 됨.
이 사건으로 드러난 균열은?
① 금융 감독당국의 시야가 닿지 않는 사각지대가 있었음. 국가 규모의 경제가 파탄 나는 지경이 되기 전엔 불과 몇 명이 수천억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은행으로부터 별 다른 확인 과정 없이 차입하는 것도 그 돈을 가지고 어떤 일을 하는지도 알 수 없게 된 것. ② 대리인 문제. 고도로 세분화된 금융시장에서 대리인은 가장 믿을 수 없는 존재가 되어 신용 악화의 증폭기가 되어버림. ③ 투자의사결정이 수학적 도구에 더 의존함. 수학적 도구는 금융상품에 내재하는 리스크를 모두 잘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을 일으켜 아주 위험한 극단의 상황을 초래할 공산이 큼.
이 세 가지 요건이 함께 작용해 2000년대의 신용버블 붕괴를 일으킨 것.
3. 균열의 시작
미국의 서브프라임 증권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얼마나 깊숙이 침투해 있었는지를 알게 됐음.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음을 시인한 우량 금융기관의 명단
9월에 파산하거나 인수된 리만브라더스, 메릴린치, 또 부분 국유화된 AIG 등이 그러한 사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