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

 1  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1
 2  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2
 3  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3
 4  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4
 5  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5
 6  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6
 7  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7
 8  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_건축과_뉴_휴머니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부 - 소중한 일상과 열린 건축
2부 - 뉴 휴머니즘과 현대성의 발견
3부 - 이 책을 읽고서
본문내용
이 책은 우리 건축의 현실과 그 문제점, 그리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과거의 것, 또한 현재 우리의 일상의 교훈으로부터 찾아내어 건축에 있어서의 뉴 휴머니즘을 찾아가자고 말하고 있다. 이미 우리가 가진 것들을 되돌아보고 그것으로부터 가능성 있는 우리의 모습을 찾는 것으로, 우리는 뉴 휴머니즘의 건축을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1부 - 소중한 일상과 열린 건축
집이 사라져 가고 있다
원래 우리나라에는 각 지방마다 특색 있는 가옥 구조가 있었다. 그 지역의 자연환경과 지세에 따라 주변에 대응하는 방식은 달라지므로 그에 따라 집의 구조는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슬레이트 지붕에서 아파트에 이르기까지 현재의 우리나라는 지역에 상관없이 획일화된 주거형태를 띠게 되었다.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구화와 다양화의 경향을 살펴보면, 지구화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현상이고, 다양화는 문화 예술적 측면의 현상이다. 하지만 우리는 문화 예술에서의 다양화를 추구하지 못한 채로 그마저 경제에 종속시키며 획일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주거는 사회 단위의 차이를 결정짓는 중요한 매개이다. 각각의 사회 단위는 생활 방식과 문화 습성에서 차이를 가질 수밖에 없고 이렇게 발생하는 차이는 사회를 발전시키는 힘이다. 그러나 대량 생산을 바탕으로 한 효율의 가치를 최고의 목표로 갖는 산업 자본주의의 결과로 이러한 건강한 문화 습성의 차이는 무시되고 주변의 모든 것은 물질적 가치로 환산되고, 그로인해 점점 더 큰 욕심만 낳게 되었다.
이러한 욕심들 때문에 사회를 반영하는 집이 사라져 가고 있다. 옛날 집이 없어지고 그 자리를 다시 새 집들이 지어지는 과정은 외세의 침략에 시달리고 근대화기를 압축적으로 거친 우리나라의 현대사와 같은 맥락이다. 우리 전통의 집들이 있던 땅에 일본인들이 일본식 집을 짓고, 서양식 집을 들여오고, 그 후 전쟁을 겪으면서 60년대에 이르러 양옥 시대가 시작되었다. 또 60년대 후반이 되어서는 서양식 아파트가 들어오게 되었고 그에 따라 권력층이 끼어들어 각종 투기와 돈장난이 난무하게 되었다.
이처럼 우리는 집을 지우려 하지만, 집은 우리를 기억하고 있다. 사회가 힘들고 각박해지기 전에는 집은 평수가 아닌 편안함으로 평가되었다. 꽃이 있고 나무가 있고 마당이 있고 다락방도 있고 옥상, 그리고 웃음과 눈물이 있었다. 이렇게 많은 것들을 가지고 있던 집이 없어져가고 있는 것이다.
건축은 돈이 아니다
우리는 그저 돈이 되지 않으면 후손들에게 남겨줄 건물을 고려하지 않은 채 돈의 논리에 의해 허무하게 헐어버리고 있다. 하지만 집은 돈이 아니며, 건축이란 원래 이런 것이 아니었다. 사랑하는 가족끼리 오순도순 살아가는 공간인 곳에 사기가 판을 치고 부의 축적 수단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자본주의의 최대 실수였다. 집에 대한 욕심은 결국 땅에 대한 욕심과 같은 것인데, 우리는 지금 땅이 허락한 분수를 넘어섰다. 땅이 정한 한계를 넘어섰을 때의 결과를 알면서도 이러는 지금의 현실이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이다.
건축은 돈이 아닌 그저 건축일 뿐이다. 건축은 가장 현실적이며 강력한 문화 예술 분야로서 가장 근원적인 예술이다. 그 이유는 어느 누구도 건축을 벗어나서 살 수 없는 항시성과 당연성 때문이다. 즉, 건축은 모든 사람이 하루 내내 접하며 사는 당연한 매체이므로 매우 큰 파급 효과를 갖는다. 이런 파급 효과는 부정적 측면인 부동산 투기, 긍정적 측면인 정선과 빌바오(Bilbao)의 예로 살펴볼 수 있다. 이 두 도시는 모두 광산을 기반으로 한 곳이었기에 죽어가고 있던 도시였다. 이를 살리기 위해 정선에는 카지노를 지어 정선은 다시 죽었고, 빌바오는 그 곳에 미술관을 지어 건강하고 밝게 일어섰다. 건축을 무엇으로 이해하는가에 따라 이 두 도시는 극심한 차이를 보였다. 정선은 추악하게 무너졌고 빌바오는 문화 도시로 다시 태어났다. 빌바오의 예는 건축의 힘, 문화 예술의 힘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