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

 1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
 2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2
 3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3
 4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4
 5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5
 6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6
 7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7
 8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8
 9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9
 10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0
 11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1
 12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2
 13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3
 14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4
 15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5
 16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6
 17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7
 18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디어수용자분석] 드라마 `내조의 여왕`을 통한 미디어 수용자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TEXT 분석
1) 캐릭터
2) 구도

(2) 수용자 분석
1) 선택과 만족
2) 참여와 변화

(3) 설문조사
1) 설문지
2) 설문 응답 분석 및 정리

(4) 한계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본론

(1) TEXT 분석

본격적인 수용자 분석에 앞서 Text 자체 분석을 하고자 한다. Text 분석은 캐릭터와 구도 분석을 기본으로 했으며 그 속에서 이 갖는 기존 드라마와 차별적인 요소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1) 캐릭터
우선, 전체적인 틀에서 내조의 여왕은 기존 드라마처럼 남성 위주의 서열이 아닌 여성중심적 사회구도를 지니고 있다. 기존 드라마에 등장하는 많은 여성 캐릭터들은 기본적으로 남성의 직위에 따른 신분 상승을 꿈꾸는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갖고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은 ‘신데렐라’가 아니라 ‘평강공주’의 이야기다. 우리가 아는 ‘신데렐라’는 왕자가 구두를 들고 찾아와주기를 기다릴 뿐, 자기 손으로 아무 것도 할 수 없지만 평강공주는 바보 온달을 왕으로 만들어, 스스로 왕비가 되었다. 드라마의 기획의도에서도 밝혔듯, 사회부적응자인 남편을 180도 개조시켜 성공시키기 위해서라면 겁날 것도 없고, 못할 것도 없는 여성들이 ‘내조의 여왕’의 주인공들이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신데렐라’를 담은 드라마들과의 차별화가 부각된다.
주인공 천지애(김남주 역)에서는 사회에서 기대하는 ‘엄마이자 아내’의 역할을 반영하여 부르디외의 아비투스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즉 계급에 따라 나타나는 문화적 성향을 반영해 시청자에게 친숙한 ‘엄마 그리고 아내’의 역할을 담고 있다. 하지만 천지애라는 캐릭터가 보여주는 ‘내조’는 우리가 생각하는 ‘내조’ 그 이상이다. 억척스럽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당당함과 무식함 속에서 남편을 왕자님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아울러 천지애의 대사 속에 드러나는 무식함은 시청자들에게 ‘정서적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사회에 표출하는 의미 또한 스며들어있다. 무엇보다 우리가 천지애 역에서 주목할 점은 ‘슈퍼우먼’이라는 특성이다. 남편이나 아이에게 무슨 일이 생길 경우 나타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강인한 여성의 대표주자의 면모를 보여준다.
참고문헌
김훈순(2003) 미디어 성과 상, 김훈순,한은형,이동후(공저)
오혜란(1991) TV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의 역할에 관한 연구
김훈순(2006) 여성담론 생산의 장으로써 텔레비전 드라마
한희정(2002) 인터넷 게시판 수용자의 드라마 해독 연구
이오현(2002)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과 그 한계
이오현(2002)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 연구
권호천(2008) TV 프로그램 시청자 게시판에서의 수용자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비교분석
정영희(2007)〈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수용자의 현실적 공감과 즐거움에 대한 연구
전 산(2003) TV드라마가 채널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혜순(2004)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상 : 노희경의 과 김수현의 을 중심으로
김미정(2003) TV드라마에 나타난 성차별적 갈등구조와 이데올로기
박혜진(2001) TV드라마 속에 나타난 여성의 직업관에 관한 연구
변준희(1997) 멜로드라마의 여성관객에 관한 연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