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

 1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1
 2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2
 3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3
 4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4
 5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5
 6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6
 7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7
 8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8
 9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9
 10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10
 11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11
 12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12
 13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13
 14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14
 15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획안] `홍대 클럽` 브랜드 구축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획 개요
2. 홍대 클럽의 현재 분석
○ 홍대 클럽이 가지는 문화적 가능성(이미지)
3. 홍대 클럽문화의 새로운 전개 방향
1) 홍대 클럽이 하나의 큰 틀에서 협력해야 한다.
2) 개성적인 홍대 클럽 브랜드화가 필요하다.
3) 인디 공연 문화 중심의 브랜드화 구체적 모습
4. 인디 인큐베이팅(가칭)
1) 기획 의도
2) 프로그램 제목
3) 프로그램 참여 대상
4) 프로그램 형식
5) 주요 방송 출연자(심사위원)
6) 방송일시와 시간
7) 공식 홈페이지 구현
유사 참고 사이트
5. 비교대상 프로그램
1) 악동클럽
2) 쇼바이벌
3) American Idol
4) Project Runway
6. 활용 가능한 파생 콘텐츠
7. 기대 수익 창구
8. 재정 구조

본문내용
2. 홍대 클럽의 현재 분석
홍대 클럽 문화는 세계적으로 봐도 굉장히 독특한 형태의 문화로서, 홍대 앞 클럽들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난 다양한 문화들이 ‘홍대 클럽’이라는 하나의 브랜드로 모여든 것이다. 그 시작이 클럽 문화라는 본래의 정체성과 맞물려 대단히 자생적으로 생겨났다는 점과 현재의 홍대 클럽이라는 묶여진 큰 틀을 유지하면서도 각각의 클럽 문화의 다양성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는 점은 홍대 클럽의 문화적 가능성을 내비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클럽이 본격적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진 것은 1990년대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당시에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댄스 클럽이 아닌 라이브 클럽이나 실험적인 클럽이 주를 이루었고, ‘드럭’, ‘프리버드’, ‘재머스’, ‘살’, ‘야누스’ 등은 수익과 관계없이 다양한 인디밴드들에게 장소를 제공해주어 인디음악의 산실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많은 이들이 알고 잇는 자우림이나 노브레인, 크라잉 넛, 델리 스파이스 등의 걸출한 뮤지션들을 대중들에게 선보이게 된다. 그러던 중에 2001년 클럽 데이가 생겨나고 기존의 라이브 클럽 중심이 아닌 댄스 클럽 중심의 분위기로 변화되면서 대중들을 “클럽=댄스클럽” 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라이브 클럽은 급격하게 줄어들고 댄스 클럽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홍대 클럽 문화의 헤게모니가 라이브 클럽에서 댄스 클럽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 이유는 실험적인 창의성을 중시하는 라이브 클럽과는 달리 댄스클럽은 대중들에게 춤추고 노는 장소로만 인식돼 홍대 문화가 유흥문화로 변질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클럽을 대상으로 M-net에서 방영된 Super Vibe Party를 통해 클럽이 마치 남녀 짝짓기 혹은 노출이 심한 여성들이 자신을 드러내기 위한 장소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클럽은 급격하게 퇴폐의 대상인양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더군다나 당시 '마약'이나 '미군들과의 마찰' 등으로 인해 더더욱 클럽의 부정적인 모습이 강하게 퍼져나갔고, 공중파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에서 한 인디 그룹의 멤버가 공연 중에 성기를 노출시키는 방송 사고를 일으킴으로써 대중들의 클럽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은 점차 커져가기 시작하였다. 댄스 클럽에서 남녀가 몸을 비비며 춤을 추는 일명 ‘부비부비’ 문화는 클럽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즐길 수 있는 나이트 클럽정도로 인식하게 만들었으며, 한국 여성이 외국인과 음란파티를 즐긴다는 사진이 인터넷에 유포 되면서 사회적인 물의를 빚기도 하였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의 문제에서 한발 더 나아가 현재의 홍대 클럽이 당면한 가장 큰 문제는 첫째가 경제적 가치의 상실을 얘기할 수 있다. 현재의 홍대 클럽은 댄스 클럽 중심의 그것으로 자리 잡혀 있다. 하지만 예전과 달리 압구정, 청담을 중심으로 강남지역에 댄스 클럽의 공급이 최근 몇 년간 급격히 불어나고 있고 댄스 클럽의 주류가 강남으로 넘어가고 있는 듯하다. 즉, 홍대 클럽은 앞서 언급했듯 부정적 이미지를 떠안은 채로 질 낮은 댄스 클럽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반면에 새로 생겨난 강남권의 댄스 클럽들은 홍대의 그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이 좋고 소위 말하는 물이 좋은 곳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으면서 클러버(클럽문화를 즐기는 사람들)들의 홍대에서 강남으로의 극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