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용어]비유_vs_상징,_감정의_대위법_vs_역설(모순_형용),_대조와_대비 2

 1  [문학용어]비유_vs_상징,_감정의_대위법_vs_역설(모순_형용),_대조와_대비 2-1
 2  [문학용어]비유_vs_상징,_감정의_대위법_vs_역설(모순_형용),_대조와_대비 2-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용어]비유_vs_상징,_감정의_대위법_vs_역설(모순_형용),_대조와_대비 2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비유 vs 상징

상징과 대표적인 비유법인 은유는 어떻게 다를까요? 은유법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이룹니다. 말하자면 원관념 하나에 보조관념도 하나입니다. 이에 비해 상징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가 다(多)대일(一)입니다. 즉 보조관념은 하나지만 그 원관념은 여럿일 수 있지요. 예를 들어 이상화의에서 봄이 상징하는 것은 일 년 사계절 중의 하나인 봄[春]일 수도 있고, 우리 나라의 독립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평자에 따라서는 전통적인 관습이 없어진 상태를 상징하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합니다.


비유는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에 공통성을 기반으로 하지만, 상징은 그렇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비유의 일종인 대유법이 쓰인 표현인 `인간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라는 표현에서 `빵`과 `식량`은 서로 공통성(유사성)이 있습니다. 문맥상 식량을 대신하여 빵을 쓸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관계(원관념:보조관념)가 1:1입니다.
그러나 상징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서로 공통성에 기반하지도 않지만 그 둘의 관계가 多:1입니다. 가령, `눈 속을 헤치며 산수유 열매를 따 오셨다`라는 구절에서 `눈`은 고난, 고생, 순수를 상징하고 `산수유 열매`는 고생을 다하여 따 오신 정성과 사랑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열이 펄펄 나는 자식을 위한 아버지의 사랑은 순수하고 강하며 고생과 고난으로 인해 더욱 값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상징적 표현입니다. `눈=순수/고난/고생`, `산수유=사랑/정성` 등에서 공통성에 기반한 것임을 알 수 있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