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

 1  [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1
 2  [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2
 3  [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3
 4  [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4
 5  [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5
 6  [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6
 7  [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7
 8  [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간공학] 미각을 통한 작업기억능력 요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 초 록 >
1.1 실험 제목
1.2 실험 요약
1.3 핵심어


2. < 서 론 >
2.1 실험의 이론적 배경
2.2 실험의 목적
2.3 실험의 중요 요소


3. < 연 구 방 법 >
3.1 실험 장비
3.2 실험 방법
3.3 분석 방법


4. < 연 구 결 과 >
4.1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한 연령과 작업기억능력과의 관계분석
4.2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한 충분한 양에 따른 작업기억능력 분산분석
4.3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한 미각, 미각 +시각의 작업기억능력 분산분석


5. < 토 의 및 결 론 >
5.1 토의
5.2 결론


6.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3.2 실험 방법

연령별에 따른 단기기억능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에서 각각 피실험자를 선발 한 후에 포도주스, 오렌지주스, 초콜릿우유, 딸기 우유, 사이다를 5가지의 음료를 임의적으로 10가지의 순서를 만들어서 마시게 하였다. 처음에는 피실험자에게 5가지의 음료를 보여준 후 눈을 가린 채 10가지 순서의 음료를 마시게 한 후 어떤 순서로 마셨는지를 얼마나 기억해 내는지를 실험하였다. 눈을 가린 채 실험을 두 번에 걸쳐 했는데 첫 번째 음료의 양은 소주잔의 1/4 정도 되는 13cc 만큼의 양이고 두 번째는 소주잔의 1/2 정도인 26cc 로 하였다. 이렇게 자극의 크기에 따른 실험을 한 후에, 눈을 가리지 않은 채 또 다른 10가지 순서로 음료를 마시게 하는 실험을 하였다. 눈을 가리지 않은 실험에서는 음료의 양을 13cc로 실행 하였다. 이 같은 방법으로 피 실험자의 학습 효과와 포만감에 따른 미각의 피로를 방지하고자 며칠을 걸쳐 실험하였다.


No
음료수 양
순서
1
26cc
딸기 우유
2
26cc
포도주스
3
26cc
오렌지주스
4
26cc
초콜릿우유
5
26cc
사이다
6
26cc
딸기 우유
7
26cc
사이다
8
26cc
초콜릿우유
9
26cc
오렌지주스
10
26cc
포도주스
No
음료수 양
순서
1
13cc
딸기 우유
2
13cc
사이다
3
13cc
오렌지주스
4
13cc
초콜릿우유
5
13cc
포도주스
6
13cc
딸기 우유
7
13cc
사이다
8
13cc
초콜릿우유
9
13cc
오렌지주스
10
13cc
딸기 우유
∙ 눈을 가린 채 실험

∙ 눈을 가리지 않은 채 실험
No
음료수 양
순서
1
13cc
포도주스
2
13cc
초콜릿우유
3
13cc
오렌지주스
4
13cc
딸기 우유
5
13cc
포도주스
6
13cc
오렌지주스
7
13cc
사이다
8
13cc
딸기 우유
9
13cc
포도주스
10
13cc
초콜릿우유


3.3 분석방법 (통계적 처리방법)

본 연구는 요인을 연령(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음료의 양(13cc, 26cc), 미각 +시각(눈을 가린 채, 눈을 가리지 않은 채) 3가지로 설정하였고 총 3가지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팀은 연령에 따른 작업기억능력 용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밝혀내고,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음료의 양과 미각 +시각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지를 검정할 것이다. 이를 통해 작업기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낼 것이다.

분석I. 연령에 따라 작업기억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 분석 방법
각각의 연령에 따라 작업기억능력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다른 요소들을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두고 연령만을 변화시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다. 이 방법은 관심의 대상이 되는 특정 값에 많은 요인이 영향을 주고 있다고 인정되지만 특정한 하나의 요인만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연령에 따른 작업기억능력의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세운 후,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귀무가설의 채택과 기각을 알아본다.

분석Ⅱ. 자극의 크기(음료의 양)에 따라 작업기억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 분석 방법
자극의 크기에 따라 작업기억능력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
참고문헌
[1] Mark S.Sanders and Ernest J.McCormick, “Human factors in engineering and design”, McGRAW-HILL,INC., p.66~68, 1992
[2] 도명기, 김경삼 “초등영어 학습자의 단기기억 용량과 발달 차에 관한 연구”, Primary English Education, vol 7, No.2 p.101~121, 2001
[3] 송호정, 최진영 “한국 노인의 숫자 폭 및 시공간 폭 검사 표준화 연구”대한심리학회지: 임상 vol.25, No.2, p.505~532, 2006
[4] 남기성, “SPSS를 이용한 통계분석은 어떻게?”, 자유아카데미, p.153~200, 2006
[4] 인간공학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