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와 몽고

 1  중앙아시아와 몽고-1
 2  중앙아시아와 몽고-2
 3  중앙아시아와 몽고-3
 4  중앙아시아와 몽고-4
 5  중앙아시아와 몽고-5
 6  중앙아시아와 몽고-6
 7  중앙아시아와 몽고-7
 8  중앙아시아와 몽고-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앙아시아와 몽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국내와 지역적 안정(Domestic and Regional Stability)
경제적 이해관계(Economic Interests)
정상화(Normalisation)
본문내용
중국은 국경 통제를 강화시키고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츠스탄에 근거하는 위구르의 활동을 제어하기 위해 정상화된 관계, 정규적 외교 정상회담, 경계선 결정과 안보 유대의 약속을 이용해왔다. 베이징은 1991년 초, 새로운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외교적 유대를 이루기 위해 재빨리 움직였다. 1993년말 각국의 정상들이 베이징을 방문하였다. 리의 방문이 1996년에 이루어졌고 이어 장쩌민(江澤民)이 키르기츠스탄, 투르크멘과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매우 확실한 것이었다. 쌍무적으로 중국은 1994년 카자흐스탄과 국경합의를 사인하고 불가침 확인을 하였으며, 2년후 키르기츠스탄과도 같은 합의를 보았다. 중국 관료들은 쌍무적인 국경합의는 이 세기 말까지 모두 이루어질 것이라고 하였다. 말썽이 되고 있는 지역들은 이러한 쌍무적인 합의에서 제외되었고, 타지히스탄에서의 질서가 회복될 때까지 중국과 타지히스탄의 국경 분할 문제는 연기되었다. 동시에 베이징은 국경 분할에 대한 ‘4+1’ 회담에 앞서 이러한 것을 발표하였다.
중국은 카자흐와 키르기츠의 당국자들과 분리주의자의 소요(騷擾)에 대한 반대입장을 확인시켜주었다. 그 과정에서, 중국 관료들은 新彊에서의 폭동이 심화되고 탈퇴를 하려는 지역 있을 때 모든 국경 국가들에게 위협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은 또한 위구르의 행동에 직접적으로 대항하기 위해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외교적 성공을 이루기도 하였다. 1996년 4월 CBM합의가 있기 전, 중국은 대규모적인 탄압을 실시하였다. 중국 관료들은 18,000명이 넘는 위구르인들이 국경 지역에서 체포되었다는 반대파들의 주장을 부인하였으나, 수천 명을 억류하였다고 인정하였다. 1996년 4월 22일에서 5월말까지, 베이징은 이슬람 책과 카세트 그리고 새로운 이슬람교 사원의 건축을 금지시켰다. 또한 국경 통제를 강화하고 이 지역에서의 저항 전투에 대비한 ‘비상 대응군’의 배치를 하였다. 로렐 베자니스(Lowell Bezanis)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탄압이 진행되는 전형적인 방식으로 베이징은 먼저 계획을 수립하고 서방세계의 이웃들로부터 승인을 얻기만을 기다렸다. . . 한편, 러시아, 카자흐, 그리고 키르기츠 언론들은 이 현안에 대하여 확실하게 침묵만을 지키고 있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