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

 1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
 2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2
 3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3
 4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4
 5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5
 6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6
 7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7
 8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8
 9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9
 10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0
 11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1
 12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2
 13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3
 14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4
 15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5
 16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6
 17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7
 18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8
 19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19
 20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목생리학] 기후변화와 숲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기후변화란?
2.기후변화의 원인
1)자연적 요인
2)인위적 요인
3.기후변화의 영향과 전망
4.기후변화와 산림 생태계의 변화
(1)산림 식생대 이동
(2)숲의 구조와 생산성의 변화
(3)생물계절과 다양성 변화
(4)산림재해 발생증가
5.기후변화와 관련한 숲의 역할
(1)산림의 탄소순환
(2)탄소 흡수원
6.숲을 통한 기후변화(국가적 차원의 극복방안 및 노력)
(1)세계적인 움직임
(2)한반도 내에서의 움직임
7.숲을 통한 기후변화(조직 및 단체) 극복방안 및 노력
8.결론

본문내용
기후변화의 영향

○ 관측된 변화 및 반응에 대한 평가, 담수자원 및 관리, 생태계, 속성 및 재화와 용역 등
○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계에서 관측된 영향
- 빙하호의 확장 및 증가, 산악지역의 눈/산사태 증가
- 북극, 남극의 동․식물 종의 변화
- 초봄의 철새 이동, 산란, 개화 등의 조기화
- 고위도 해양에서 플랑크톤, 해조류, 어류의 이동
○ 부문별 기후변화의 영향
- 전 지구평균기온이 1.5~2.5℃ 상승하면, 전 세계적으로 동․식물의 약 20~30%는 멸종 위기의 가능성이 있음
- 고위도에서는 농작물 생산량은 온도가 1~3℃ 상승할 때 까지는 증대, 3℃이상 상승하면 모든 지역에서 오히려 감소 전망
- 2080년대에는 해수면 상승으로 홍수 전망
○ 지역별 기후변화의 영향
- 아프리카는 2020년 물 부족 인구가 75~250백만 명으로 전망
- 동․남동아시아는 21세기 중반에, 작물 생산량은 20% 증가 전망이나, 중앙․남아시아는 30% 감소 전망
- 북유럽은 남방에너지 감소 및 작물/삼림의 생산성은 증가 전망이며, 남유럽은 열파, 산불 발생 증가 및 작물 생산성 감소 전망


기후변화현황
-국내 온실가스 감시 : 이산화탄소 농도
최근 10년(1999~2008년)동안 이산화탄소의 연평균 증가량은 2.3 ppm/년으로, 2007년까지의 증가량인 2.4 ppm/년 보다 감소 , 2008년 안면도의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391.4 ppm, 2007년 389.9ppm보다 1.5 ppm 증가하였음
: 메탄가스 농도
최근 10년(1999~2008년)동안 메탄의 연평균 증가량은 1.9 ppb /년으로 관측되었음, 2008년 메탄의 연평균 농도 1,888 ppb는 2007년 1,891 ppb 보다 3 ppb감소하였음


기후변화 현황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현황
이산화탄소 연간배출량 : 21 Gt(1970년)에서 38 Gt(2004년)으로 약 80% 증가, 에너지 공급, 교통, 산업이 가장 높았으며, 주거용 및 산업용 건물, 산림(산림제거 포함), 농업부분에서 낮았음

IPCC 제 4차 평가보고서 요약

○ 미래 기후변화 전망
- 화석연료에 의존한 대량소비형의 사회가 계속된다면, 1980~1999년에 비하여 금세기말(2090~2099년)의 지구 평균기온은 최대 6.4℃, 해수면은 59cm 상승
- 고온, 열파, 호우의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태풍과 허리케인 등 열대폭풍은 열대 해수면온도 상승과 더불어 강도 강화
- 적설면적의 감소 및 영구동토의 해빙
- 해빙(sea ice)의 감소 및 21세기 후반 여름철 북극해의 해빙 소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