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

 1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
 2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2
 3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3
 4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4
 5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5
 6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6
 7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7
 8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8
 9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9
 10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0
 11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1
 12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2
 13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3
 14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4
 15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5
 16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6
 17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7
 18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8
 19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19
 20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식품정책론] GMO의 안전성 및 각국의 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해외의 GMO관련제도


Ⅲ. 우리나라의 GMO관련제도


Ⅳ. GMO관련제도의 문제점


Ⅴ. 개선방안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렇듯 GMO개발을 미래의 식량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생각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쪽이 있는 반면에, 한편에서는 GMO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경고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그것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것은 알러지 발생과 항생제 내성 그리고 독성이다. 한 유전자가 다른 종에 도입되는 경우 새로운 물질이 생산되므로 독성을 나타내거나 알러지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항생제내성 유전자가 박테리아와 병원균에 확산되면서 인체 내 항생제 내성이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세포 감염으로 인하여 질병을 재 활성화시키거나, 운반체가 세포 내로 들어가서 치명적인 독성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GMO식품의 알러지 발생 가능성을 충분히 검증하지 않은 상태에서 GMO가 사람들에게 공급될 경우 이는 식품의 안전성을 해치게 된다.
또한 GMO는 환경파괴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 해충 및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GMO의 저항성 유전자가 생태계 속으로 전이될 경우, 해충과 잡초들이 저항성 유전자를 가지게 됨으로써 슈퍼잡초와 슈퍼해충이 탄생하여 방제가 다시 어려워지는 악순환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변종이 출현하여 생물의 다양성이 파괴되는 등 자연 생태계의 질서가 교란될 수 있다.
GMO로 인해 유기 농업이 불가능 할 수 있다는 것도 논란이 되고 있다. 왜냐하면 자연생태계 자체에 의존하는 유기농업이 GMO가 재배되는 곳과 섞이게 되면 유기농업의 목적인 청정함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GMO를 재배한 땅에서 새롭게 자라는 작물이 GMO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굉장히 높다. 즉, 우리나라처럼 농경지 규모가 작은 곳에서는 GMO의 영향으로 유기 농업이 불가능해 질 수 있고 대부분의 농경지가 GMO에 의해 오염될 위험성이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