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

 1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1
 2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2
 3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3
 4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4
 5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5
 6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6
 7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7
 8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8
 9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9
 10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대사] 광개토왕릉 비문에 대하여 - 수묘인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1.비문의 구성 ' 한국고대사연구회

2.광개토왕 사후 그에게 붙여진 시호(諡號)의 의미
3.시호(諡號)와 장지명(葬地名) 그리고 수묘인
Ⅱ. 본론 - 비문의 내용
3. 태왕릉을 지키는 사람들 - 수묘인(守墓人)
(1) 광개토왕 이전의 수묘제(守墓制)
(2) 비문의 수묘인 관계 기사 내용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1.비문의 구성Missin'-link ' 한국고대사연구회



광개토왕비문(廣開土王碑文)(이후 ‘비문’으로 약칭)은 4면에 걸쳐 모두 44행 총 1,775자(보이지 않는 글자까지 합하면 총 1,802자)가 적혀있다. 비문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부분은 고구려 왕실의 계보와 약력을 기록하였고, 둘째 부분에는 광개토왕의 업적 중에서도 특히 각 방면에 대한 정복기사를 기록하였으며, 셋째부분은 광개토왕의 능묘를 지키는 수묘인에 관한 규정을 언급하였다.
이번 발제에서는 최근에서야 다루어지기 시작한 ‘수묘인(守墓人)’ 관계 기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그 밖에 2개의 기사는 대략적으로 다루어보도록 하겠다.

2.광개토왕 사후 그에게 붙여진 시호(諡號)의 의미

비문에 의하면 광개토왕의 시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다. 생전에 ‘백잔’(백제를 의미함)을 비롯한 사방의 적들을 공파(攻破)하고 토경(土境) 즉, 영역을 개척했다는 뜻으로 ‘광개토경’을 호에 넣었다. 그리고 ‘평안’은 그의 훌륭한 내치(內治)를 기린 것이며, ‘호(好)’ㆍ‘태(太)’ 등의 호는 24대 양원왕(陽原王)을 양원상호왕(陽原上好王), 25대 평원왕(平原王)을 평강상호왕(平岡上好王)이라고 한 것이나, 6대 태조대왕(太祖大王)의 예(『삼국사기』)에 비추어 보면 왕을 아름답게 부르는 미칭(美稱) 혹은 존칭(尊稱)이라고 볼 수 있다.
끝으로, ‘국강상’은 그의 능묘가 위치한 곳의 지명이다. ‘고국지원(故國之原)’에 묻힘으로써 고국원(故國原)이라고 이름한 16대 고국원왕(故國原王)을 일명 국강상왕이라고 하였음으로(『삼국사기』) ‘국강상’은 ‘국원(國原)’이라는 지명임을 알 수 있다.

3.시호(諡號)와 장지명(葬地名) 그리고 수묘인...

광개토왕뿐만 아니라 그보다 이전에 재위한 왕들의 시호에도 장지명이 호의 첫머리에 나온다는 점을 볼 때, 당시 고구려 왕실(王室)에서 묘역(墓域)과 능묘(陵墓)를 중요시하였음을
참고문헌
● 단행본

김용만, 『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1999.
______,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어디로 갔을까』, 바다출판사, 1999.
김정배ㆍ유재신 엮음, 엄성흠 번역, 『중국학계의 고구려사 인식』, 대륙연구소, 1991.
이인철, 『고구려의 대외정복 연구』, 백산자료원, 2000.
이진희 저, 이기동 역, 『광개토왕릉비의 탐구』, 일조각, 1982.
이형구, 박노희, 『광개토대왕릉비 신연구』, 동화출판공사, 1985.

● 논문자료

공석구, 「광개토왕릉비의 동부여에 대한 고찰」, 『한국사연구』70, 1990.
김태식, 「광개토왕릉비문의 임나가라와 ‘안나인수병’」, 『한국고대사논총』6,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서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4.
______, 「광개토왕릉비와 임나일본부설」, 『역사비평』36호, 서울: 역사비평사, 1997.
김현숙, 「광개토왕비를 통해 본 고구려수묘인의 사회적 성격」, 『한국사연구』65, 한국사연구회, 1989.
노태돈, 「5세기 고구려인의 천하관」, 『한국사시민강좌』3, 일조각, 1988.
______, 「고구려의 초기 왕계에 대한 일고찰」, 『이기백 선생 고희기념 한국사 논총』, 일조각, 1994.
서영수, 「광개토대왕비문의 정복기사 재검토(상)」, 『역사학보』96, 역사학회, 1982.
연민수,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대외관계 - 고구려의 남방경영과 국제관계론 - 」, 『한국고대사연구』10(삼한의 사회와 문화 특집호), 한국고대사연구회 편, 서울: 신서원.
왕건군 저, 김영희 역, 「“임나일본부”와 “왜의 오왕”」, 『가야문화』5, 가야문화연구원, 1992.
이기동,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사시민강좌』3, 일조각, 1988.
이인철, 「4~5세기 고구려의 수묘제 - 광개토대왕비의 수묘인 연호조를 중심으로 - 」, 『청계사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청계사학회, 1997.
이재호, 「광개토왕릉 비문의 석의」, 『한국사연구』88, 한국사연구회, 1995.
이종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