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

 1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1
 2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2
 3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3
 4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4
 5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5
 6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6
 7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7
 8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8
 9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9
 10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10
 11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11
 12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12
 13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13
 14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14
 15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15
 16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16
 17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쟁사] 일본의 군사전통과 태평양전쟁의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Ⅰ. 서론
Ⅱ. 일본 군국주의의 뿌리; 군사전통
1.일본의 외세에 대한 대항 방식과 일본군의 역할
2. 메이지 유신의 단행과 군부의 결집
3. 천황과 군부세력의 관계

Ⅲ. 태평양 전쟁의 기원
1.대동아공영권의 개념
2.일본군국주의의 배경
3.전쟁으로 가는 길 – 광기의 폭주

Ⅳ. 태평양 전쟁에서 성공 · 실패 사례 분석
1. 전략 전술의 성공적 사례
2. 전략 전술의 실패 사례

Ⅴ. 결론
1. 한국의 항일무장투쟁
2. 한반도의 분단
3. 한·일 간의 앙금 관계
본문내용
Ⅱ. 일본 군국주의의 뿌리 ; 군사전통

1. 일본의 외세에 대한 대항 방식과 일본군의 역할

아시아의 근대화는 자생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서양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조선의 경우 1866년 미국의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통상을 요구했었고 일본의 경우 1853년 미국 페리 제독이 네 척의 흑선을 앞세우고 개국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외세에 대해 조선은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제너럴 셔먼호의 통상 요구를 거절하였고 이 과정 속에서 셔먼호의 승무원 23명이 전원이 죽게 되어 신미양요의 계기가 된다. 신미양요에서도 미국의 무력적인 개항압력에 조선은 강경한 통상수교거부정책을 펼쳤고 결국 미국은 개항에 실패한다.
일본의 경우도 에도막부는 쇄국정책을 고수해왔었다. 하지만 서양 열강과의 대결에서 대국으로 인식되었던 중국의 패배는 막부 지도자들에게 큰 충격을 가져다주었고 미국의 무력을 앞세운 강경한 개국 요구 앞에서 결국 에도막부는 20여 년간의 쇄국을 깨고 개국을 하게 된다. 하지만 개국 뒤 일본 국내 정세는 급격히 혼란에 빠지고 분열되었다. 결국 막부에 반하는 세력들이 등장하였으며 하급 사무라이 세력을 중심으로 막부에 반하며 천황을 받들어 외국을 배척한다는 존왕양이 운동이 일어났다. 하지만 서양과의 전쟁에서 서양의 힘을 직접 목격한 이들은 개국론으로 전환하게 된다.



2. 메이지 유신의 단행과 군부의 결집

개국론으로 전환한 하급 사무라이 출신 세력은 막부 타도를 외치는 도막 운동을 전개하였고 결국 260년간 지속되던 에도 막부는 막을 내리고 천황이 정치표면에 등장하는 메이지 정부가 성립되었다. 메이지 유신의 지도자들은 하급 사무라이 출신으로서 일본의 위기를 걱정하며 구국운동을 펼쳤다. 이들 대부분의 지사는 양이파로서 출발했지만 나중에 모두 개국파로 돌아섰다. 이토 히로부미와 이노우에 가로우와 같은 많은 메이지 유신 지도자는 서양을 직접 목격하고 나서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혜안이 생긴 것이다.
막부를 타도한 메이지 유신 지도자들은 서양의 기술을 빌리고 서양식으로 제도의 근대적 개혁을 이루어 일본을 서양 열강처럼 부강하게 만들고자 하였다. 이러한 개혁으로 지방 분권이던 봉건적 지배 기구에 대신하여 중앙 집권적 지배 기구를 창출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결국 옛 번을 폐지하고 현을 새로 설치하는 폐번치현의 성공으로 실질적인 중앙 집권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에 의해 전제주의・군국주의・침략주의를 국시로 하는 전제 국가적 기본 구조가 정립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조순승,「전시회담에서의 한국」,『한국분단사』(서울 : 形成社, 1982) , 19~57쪽.
양호민,「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적 이해」,『한반도 분단의 재인식』(서울 : 나남, 1993), 287~330쪽.
송건호 외, 「분단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해방전후사의 인식』(파주 : 한길사, 2006) , 82~124쪽.

-논문
김용희, 「BㆍC급 전범재판과 조선인」, 한국 법학회, 2007.
김창록, 최광준, & 하재환, 「한국 및 한국인에 대한 일본의 법적 책임」, 『法學硏究』, 제37호, 1996, pp. 83-127.
윤미향, 「일본군 ' 위안부 ' 문제 해결 운동의 현주소」, 『한국논단』, 제90호, 1997 , pp. 179-185.
이달순, 「좌익 미군정이 단독정부수립 방해」, 『한국논단』, 제96호, 1997, pp. 58-66.
이정용, 「도죠 히데키(東條英機)와 태평양전쟁」, 2009, pp. 147-171.
최철영, 「조선인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국가책임」, 『법과 사회』, 제10호, 1994, pp. 224-238.
홍종필, 「태평양전쟁 중 일제의 조선여성동원」, 명지사론, 1999, pp. 29-48.
蔡永國, 「해방 후 BC급 戰犯이 된 한국인 포로감시원」, 『한국 근현대사 연구』, 제29호, 2004년, pp. 7-34.
金元德, 「美軍政 初期의 占領政策」, 『대학원 학술논문집』, 제38호, 1994, pp. 112-13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