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

 1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1
 2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2
 3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3
 4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4
 5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5
 6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6
 7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7
 8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8
 9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9
 10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10
 11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11
 12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12
 13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13
 14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하근찬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세계에 맞서는 개인의 극복자세

1. 작가 하근찬(河瑾燦, 1931 - )

2. 「수난이대」

3. 「흰 종이수염」통한 「수난이대」더 알아보기

4.「수난이대」에서의 현실 인식 관점



Ⅲ. 결론

본문내용
2. 「수난이대」

줄거리
박만도는 삼대 독자인 아들 진수가 돌아온다는 통지를 받고 마음이 들떠서 일찌감치 정거장으로 나간다. 그런데 그는 불안한 마음을 떨쳐 버리지 못한다. 병원에서 퇴원하는 길이라 하니 많이 다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서다. 그는 팔이 없어서 늘 주머니에 한쪽 소맷자락을 꽂고 다닌다. 아들의 귀향 생각에 휩싸여 시간이 빨리 가기를 기다린다. 외나무다리를 건너면서, 언젠가 술에 취해 물에 빠져 옷을 널어 말리면서 사람들이 지나가면 물 속으로 들어가 얼굴만 내놓던 일을 생각하다. 정거장 가는 길에 진수에게 주려고 고등어 두 마리를 산다. 정거장에서 기다리는 동안 만도는 과거의 일을 회상한다. 일제의 강제 징용에 의해 남양의 어떤 섬에 끌려갔었다. 비행장을 닦는 일에 동원되었는데, 굴을 파려고 산허리에 다이너마이트를 장치하여 불을 당기고 나서려는 순간 연합군의 공습이 시작되었다. 당황한 그는 다이너마이트를 장치했던 굴로 들어가 엎드렸다가 팔을 한 짝 잃었다.
기차가 도착하고 사람들이 내리기 시작하였는데도 아들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만도는 초조해진다. '아부지"하는 소리에 뒤로 돌아선 만도는 다리를 하나 잃은 채 목발을 짚고 서 잇는 아들을 보고 눈앞이 아찔해진다. 만도는 분노를 씹으며 뒤도 안 돌아보고 걸어가다가 주막에 이르러 어찌할 수 없는 부정(父情)을 나타낸다. 술기운이 돈 만도는 진수에게 자초지종을 묻는다. 수류탄에 그렇게 된 것을 알게 되며, 이런 모습으로 어떻게 살겠냐는 아들의 하소연에 아들을 위로한다.
외나무다리에 이르러 만도는 머뭇거리는 진수에게 등에 업히라고 한다. 진수는 지팡이와 고등어를 각각 한 손에 들고 아버지의 등에 슬그머니 업힌다. 만도는 용케 몸을 가누며 조심조심 걸어간다. 눈앞에 우뚝 솟은 용머리재가 이 광경을 가만히 내려다보고 있다.

수난 이대의 갈등과 주제
이 소설의 인물 사이의 갈등은 박만도와 진수의 갈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 더 중요한 갈등의 양상은 인물과 시대의 갈등이다. 박만도를 불구자로 만든 일제의 징용이라는 역사적 현실과의 갈등, 진수를 불구자로 만든 시대와의 갈등을 통해 민족 전체의 아픔을 드러내고 그들의 화합과 극복의지를 통해 민족의 아픔을 승화시키고 있다. 부자 두 세대의 아픔은 바로 이 땅의 현대사가 경험한 역사적 비극 그것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말하려고 하는 것은 이런 비극을 확인하려는 것만이 아니라 역사적 비극을 딛고 일어서는 재기를 위한 화합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수난이대 시간과 공간
시간적 배경은 6.25동란이지만 구성상 대칭 관계에 있는 또 다른 배경은 일제 징용이다. 그리하여 아버지와 아들이 겪은 시대적 배경과 함께 작중 인물의 삶의 조건을 형성한다. 그리고 공간적 배경은 경상도 농촌인데, 이 농촌이란 배경은 농민들의 삶의 현장으로서보다는 전쟁의 피해를 입어야만 했던 사람들, 특히 자신들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장소로 부각된다. 여기에 아버지와 아들이 겪는 수난은 그들 가족 단위의 수난이자 우리 민족이 겪은 수난의 의미를 지닌다. 즉, 이대에 걸친 한 가족의 수난은 민족사적 수난의 하위 개념이자 대유적 의미를 지니는 사건이다.

구성상 특성
① 이 작품의 구성상 특성
-시간 구성
이 작품은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상호 교차시키는 시간 처리 및 회상 또는 연상의 수법을 적절히 활용한 구성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현재 1
외나무 다리

과거 1
다리에서 추락
→ 과거 연상(추락)

현재 2
궐련에 불(대합실)


과거 2
성냥불
→ 과거 연상(폭발 사건)

현재 3
아들을 만남

현재는 순행적 질서를, 과거는 시간의 역전을 각각 보여 주고 있다. 즉, 이 작품의 시간 구조는 현재의 시간이 순행하는 질서를 지니면서, 그 속에 외나무다리, 정거장 대합실, 또는 궐련의 불, 성냥불 등의 매개물을 통한 연상 작용에 의해 과거가 삽입되는 역순행적 시간 질서를 보이고 있다.
-사건 구성
이 작품은 사건의 서사 단위로 보면 다른 사건 내용을 담고 있다. 일제 때에 아버지 박만도가 겪은 사건과 6·25때에 아들 진수가 겪은 수난이 그것이다. 전자는 팔을 잃고 후자는 다리를 잃은 역사적 비극이다. 이 두 개의 사건은 비극적 성격을 지니면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즉 화합과 수난의 극복이라는 주제가 보다 강조되는 것이다.

수난이대의 서술상의 특징
이 작품의 시간 질서를 보면, 현재 진행 중인 줄거리 속에 회상 장면이 삽입되는 형태로
참고문헌
김용국(2008), 『전후문학의 양상과 ‘수난이대’의 구조』,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명란(1985), 한국소설의 문제작, 일념
교육과학기술부, 7차 중학교 교과서 국어 1-2, 한국교원대학교․고려대학교 국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