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

 1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1
 2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2
 3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3
 4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4
 5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5
 6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6
 7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7
 8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8
 9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9
 10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10
 11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 문양을 통해서 보는 상징의 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1. 전통문양의 성격과 특성
1) 전통문양의 성격
2) 전통문양의 특성
2. 전통문양의 내용 및 상징성
1. 동물문양의 내용 및 상징성
1) 용 문양
2) 호랑이 문양
3) 두꺼비와 토끼 문양
4) 학 문양
5) 새 문양
6) 물고기 문양
2. 식물문양의 내용 및 상징성
1) 연꽃 문양
2) 소나무
3) 모란
4) 석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전통 문양의 특성
문양은 언어와 문자가 마찬가지로 그 민족과 그 민족이 살아 온 환경에 따라 고유한 형태를 지니게 마련이어서 각 시대마다 외래문화의 영향을 받았을지라도 유사하긴 하여도 나름대로의 독특한 성격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를 전통문양이라 한다. 허 균, 『전통문양』, 대원사, 1995, p14
다시 말해 전통 문양은 우리 민족의 집단적인 가치 감정이 통념에 의해 고정되고 표상된 제2의 자연 또는 상징적 기호에 의해 표현된 미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문양은 생활 미술의 한 부분으로 자리하고 있지만 단순히 감상의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욕망과 기원을 담은 주술적 대상으로 또는 그런 정서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매개체 구실을 하고 있는 상징적 조형물이라고 볼 수 있다.

문양은 의식의 반영이며 정신 활동의 소산임과 동시에 창조적 미적 활동의 결과이다. 옛 사람들은 기억력을 활용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기억해 냄으로써 실제 사물들이 눈앞에 없는데도 마치 그것이 자신의 앞에 있는 듯이 다루는 표상 방법을 개발하였다. 예컨대 태어나서 코끼리를 한 번도 본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코끼리 문양을 그리고 한겨울에도 벌과 나비가 꽃 위에서 노니는 모습을 문양으로 그려내었다. 즉 문양에 나타나는 자연은 실제 자연의 모습이 아니라 일반적인 통념에 의해 규정되고 표상된 제2의 자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양은 표현 기술이 얼마나 세련되어 있는가 또는 얼마나 실제와 흡사한가라는 문제보다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될 뿐이다.
상상의 동물인 용이나 봉황 문양을 보게 되면 그것에 얽힌 이야기와 신이(神異)한 현상들을 기억해 내어 상서(祥瑞)와 길상(吉祥)의 기운을 감지한다. 허 균,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교보문고, 1991, p110
봉황은 용에 필적할 정도로 동양의 그림이나 장식문양의 소재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봉황은 수컷인 봉(鳳)과 암컷인 황(凰)을 함께 이르는 말인데 용이 학과 연애하여 낳았다는 상상의 새이다. 봉황은 다섯 가지 덕을 갖추고 있다고 하는데 머리가 푸른 것은 인(仁), 목이 흰 것은 의(義), 등이 붉은 것은 예(禮), 가슴 부분이 검은 것은 지(智), 다리 아래가 누른 빛을 띠는 것은 신(信)을 상징한다고 한다. 봉황은 고상하고 품위 있는 모습을 지니고 있어 왕비에 비유되기도 하며 태평성대를 예고하는 상서로운 새로 여겨져 궁궐의 문양으로 많이 사용되기도 했다.
복숭아 문양을 보면 장수(長壽)의 의미를 되새기며, 허 균, 『전통문양』, 대원사, 1995, p82
중국 송나라 때 구양수의 「삼다설(三多設)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서왕모의 선도(仙挑)가 3천 년에 결실한다 하여 다수(多壽)로 해석된다. 예로부터 무릇 수도(壽挑)라고 일컬을 때는 모두 장수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복숭아는 장수를 축원하는 잔치에 빼놓을 수 없는 과일이 되었다.
잉어 문양을 보면 등용문 설화의 내용을 상기하면서 입신출세의 상징물로 받아들이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이러한 반응들은 문양을 그린 사람이나 그것을 보는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된 인식 세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전통문양은 감성의 대상으로만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의 욕망과 기원을 담은 주술적 대상으로 그런 정서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매개체 구실을 하고 있는 상징적 조형물이라 할 수 있다.

Ⅲ. 전통 문양의 내용 및 상징성

1. 동물문양
동물문양에 나타나는 동물들은 신화나 상상, 그리고 실존하는 동물로서 생명력이나 번식력이 강한 의미로 장수를 상징하는 내용의 동물들이 많다.
1) 용문양(龍紋樣)
용은 동․서양이 각기 다른 상징적 의미로 나타나며 동양의 용은 힘과 선(善)의 수호신이다. 우리나라에서 용의 상징적 이미지는 여러 가지 차원으로 해석되며 무속 신앙이나 민간 신앙의 차원에서 불가항력적인 힘의 원천으로서, 혹은 불교의 벽사신(辟邪神)으로서, 혹은 왕권을 지키는 수호신으로서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라고 여겨졌다. 용은 자연 생산적인 수분의 힘에 대한 상징이 되었고 온화한 비나 폭우 등 자연을 새롭게 하는 봄의 상징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용 문양의 기원은 울주군 천전리의 선사시대 암각하에 선각된 3마리의 용일 것이다. 이는 원시인들의 무속신앙의 차원에서 신격화된 상징적 동물이었던 것이다. 기우제를 지내던 당시에 물과 불가분의 관계라고 믿어왔던 용은 원시 농경사회에서 신격화되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용 문양이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이는 경우는 고구려 벽화의 용 문양 이었다. 무용총 주실 동벽에 청룡, 통구 사신총의 청룡, 우현리 대묘 현실의 동벽에 청룡문은 하늘을 날고 있는데 운문(雲紋)이 날개 같아 보이며, 기운이 생동하는 것 같다. 고구려 벽화의 용문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이다.
삼국시대 이래 불교의 영향으로 용 문양이 많이 나타나는데 삼국시대 분묘에서 발굴된 금관, 팔찌, 보검 등 왕족들이 장신구류에 용 문양이 새겨져 있다. 특히 신라에는 용이 뚜렷한 색채를 드러내면서 사천왕상, 팔부신상, 십이지신상과 더불어 사찰, 분묘 등 여러 공예 의장에 나타난다. 또한 용은 왕권의 상징 차원을 넘어 호국 사상의 차원으로 발전되었다. 고려 시대에도 용 문양은 왕권의 상징이 되었으며 민간신앙의 차원에서도 오복 즉, 수(壽), 부(富), 강(康), 영(寧), 덕(德)을 지키는 상징적 대상으로 신봉되었다. 조선시대에도 팔부신중(八部神衆)의 하나로서 불법을 수호하는 외호신(外護神)의 형상으로 용 문양이 절의 단청, 벽화 등에 조형되었다. 허 균, 『사찰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돌베개, 2000, p21
사찰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으면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장식물은 단연 용이다. 용은 법당 전면 기둥과 처마 밑을 비롯하여 법당안의 닫집, 천장, 기둥, 벽, 계단 소맷돌 등에 주로 장식된다. 용의 외형을 보면 머리는 소, 뿔은 사슴, 배는 뱀, 꼬리는 물고기를 닮았으며 수염과 여의주, 발톱을 갖춘 신체적 특징이 있어 중국 전래의 용과 유사하다. 그러나 외형이 비슷하다고 해서 성격이나 상징 의미도 서로 같다고 생각해서는 곤란하다. 우리나라 사찰의 용은 예전부터 중국에서 상상되어오던 전통적인 용의 모습에 불교와 함께 전해진 인도 용의 성격과 불교적인 의미가 혼합된 또 다른 개념의 용인 것이다.

사람들은 용을 수신(水神)으로 섬기면서 풍요와 안전을 빌었고, 궁중에서는 용은 임금의 권위에 비유하여 여러 장식 문양으로 활용하였으며, 민가에서는 용 그림을 그려 대문에 붙
참고문헌
단행본
허 균, 『전통문양』, 대원사, 1995
허 균,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교보문고, 1991
허 균, 『사찰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돌베개, 2000
임영주, 『한국문양사』, 미진사, 1983
임영주, 『전통문양자료집』, 미진사, 1996

논문
이경미, 「한국 전통문양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박영진, 「한국문양의 주제분류를 통한 변천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강영란, 「한국전통 식물문양에 대한 역사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