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

 1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1
 2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2
 3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3
 4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4
 5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5
 6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6
 7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7
 8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8
 9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으 분류와 그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씨네 페미니즘 비평
1.2 영화 Bound와 페미니즘

2. 씨네 페미니즘 비평의 구분 방법

3. 씨네 페미니즘으로 바라본 영화 Bound

3.1 동성애를 통한 남성 지배에의 대항

3.1.1 Bound의 동성애

3.1.2 동성애로부터 찾아 볼 수 있는 페미니즘의 의의

3.2 Bound의 영화 형식과 해석

3.2.1 Film Noir

3.2.2 Bound의 Film Noir 특징과 전복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선 영화 Bound를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르 : 범죄 / 스릴러 / 액션
국가 : 미국
감독 : 래리 워쇼스키 / 앤디 워쇼스키
출연 : 지나 거손 / 제니퍼 틸리 / 조 판톨리아노
각본 : 앤디 워쇼스키 / 래리 워쇼스키

줄거리 : 헐렁한 청바지와 티셔츠 차림의 코키(제니퍼 틸리)는 막 출감한 전과자이다. 시카고의 한 허름한 아파트에서 잡역부로 일하게 된 그녀는 엘리베이터에서 시저와 바이올렛(지나 거손)과 마주치고, 코키와 바이올렛의 미묘한 시선이 교차된다. 바이올렛은 갱단의 일원인 시저의 여자로 필름 느와르의 전형적인 팜므 파탈로 보인다. 시저는 시카고 갱들의 돈을 세탁하는 일을 하고 있다. 어느 날, 시저가 피범벅이 된 마피아 소유의 돈 2백만 달러를 들고 나타나고, 바이올렛이 시저가 깨끗이 씻어 가방에 넣어둔 이 돈을 훔쳐내자고 코키에게 제안하며 영화는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코키에 의해 돈가방은 없어지고 그것은 교묘히 시저의 소행으로 둔갑하지만 시저는 돈을 찾으러 왔던 갱들을 얼결에 죽여버린다. 그녀들의 시나리오는 빗나가고 포악한 시저, 코키와 바이올렛, 갱들 사이에 돈을 둘러싼 숨가쁜 싸움이 벌어진다.
얼핏 보면 필름 느와르에 현란한 영상을 섞어 놓고, 전형적인 팜므 파탈과 남성적 매력을 지닌 터프한 여성을 담은, 레즈비언 영화라는 명분만 지닌 상업 영화로 보인다. 영화 바운드는 레즈비언의 이야기를 다루지만 레즈비어니즘에 관한 깊은 성찰을 하는 것도 아니고, 이들에 관한 사회적 문제를 제시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영화는 장르의 특성과 두 레즈비언의 관계를 역으로 이용하여, 대부분의 남성 중심 영화와 여성 영화-특히 레즈비언 필름-에서 문제시되었던 여성의 정체성과 레즈비언 섹슈얼리티를 명쾌하게 담고 있다고 본다. 워쇼스키 감독이 페미니스트는 아닐 뿐 더러 이 영화가 여성 영화로 제작되지는 않았을지라도, 수많은 상업 영화에서 왜곡된 시선으로 그려지는 여성의 정체성과 섹슈얼리티를 잘 표현하고 있다는 것은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이다. 감독은 고전적인 필름 느와르 영화의 인물구도와 상황 설정을 그대로 살리면서 그 전형적인 특징 중 어떤 것을 깨뜨려야 하는지 잘 계산 한 셈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소영 외,씨네 페미니즘 대중영화 꼼꼼히 읽기, 열화당
김지혜, 레즈비언/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서구 레즈비언 이론의 발전과정과 역사적 의의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 논문
로즈마리 통(1995), 페미니즘 사상, 이소영 옮김, 한신문화사
로라 멀비(1975),시각적 쾌락과 서사영화,
서인숙(2003), 씨네 페미니즘의 이론과 비평, 서울 : 책과길
아네트 쿤(1990), 페미니즘과 시네마, 서울:문예출판사
이소영․정정호,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한신문화사
유지나․변재란(1993) ,페미니즘/영화/여성, 서울:여성사
정유성, 여성,여성주의,여성영화, 여성영화제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심포지움 자료집


Janey, Place(1980),"Women in Film noir",ed. E.Ann Klplan,Women in Film noir, BFI Publishing
Jennifer, Montgomery, 'Lesbian Viewing and Perversity'
Kuhn, Annette(1990), Alen Zone, Verso.
(1682), Women's Picture : Feminism and Cinema, Verso.
Mitchell, Juliet and Rose, Jacqueline(1982), Feminine Sexuality,Macmillan.
Pogmund, Freud, [Dora : An Analysis of a Case of Histeria] Macmillan press.
Screen(1992) The Sexual Subject : A Screen Reader in Sexuality. Routledge.


참고 인터넷 사이트

http://www.femiart.co.kr/3wffis/3wffis_info.asp
http://myhome.shinbiro.com/~mouloud2/doc4/영화.hwp
http://www.eye-c.net/last/IC2/hand/movie/movie1.htm
http://my.netian.com/~humbert/article8.htm
http://www.hani.co.kr/hankr21/K_97580156/97580156_049.html
http://www.cine21.co.kr/kisa/sec-002100102/2002/05/020511113337148.html
http://www.tgnet.co.kr/JB1.ht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