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 우리의 도깨비

 1  [한국문화] 우리의 도깨비-1
 2  [한국문화] 우리의 도깨비-2
 3  [한국문화] 우리의 도깨비-3
 4  [한국문화] 우리의 도깨비-4
 5  [한국문화] 우리의 도깨비-5
 6  [한국문화] 우리의 도깨비-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 우리의 도깨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도깨비의 표현양상
3. 도깨비설화의 유형과 의미
4. 도깨비의 양면적인 특성
5. 나가는 말
본문내용
2. 도깨비의 표현양상

오늘날 도깨비의 실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문헌은 거의 없다. 그러나 삼국시대의 귀면기와들이 발견되고 그 귀면기와에 그려진 풍부한 도상들을 통해 일반적으로 도깨비의 원형을 추론하고 있다. 그러나 귀면이 도깨비의 원형이요 근원이라고 단정할 근거는 별로 없으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미루어 신라귀면이 오늘날 남겨진 도깨비 얼굴의 의뜸꼴이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김열규, ꡔ한그루 우주나무와 신화ꡕ, 세계사, 1990, 282쪽.
아울러 귀면기와를 고구려 벽화에 도깨비에 가까운 문양이 선보인 점으로 미루어 고대사회는 우리식 도깨비의 기초를 닦은 시기로, 과학보다는 초자연적인 미신에 의존하던 시절에 형성된 이같은 관념들은 조선시대에까지 그대로 이어져 왔음을 주강현, ꡔ우리문화의 수수께끼ꡕ2, 한겨례신문사, 1997, 12쪽.
염두해 볼 필요가 있다.
귀면기와는 괴수와 같은 귀신의 얼굴을 입체적으로 조각한 원두방형의 기와를 말한다. 獸面을 무섭게 의장화 하여 악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목조건물의 네 귀에 부착한 것으로 벽사적인 성격이 주를 이루면서 거기에 장식성이 가미된 듯하다.
귀면기와는 일반적으로 주름살 투성이의 얼굴에 부릅뜬 눈과 들창코 그리고 길게 찢어진 입에는 혀가 나와 있고 송곳니가 날카롭게 뻗쳐 있으며 이마에는 굴곡된 뿔이 돋아 있는 무서운 형상을 하고 있다. 여기에서 눈, 코, 입을 특히 강조하고 있는데, 이 세부분이 표면 면적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눈 위에는 좌우에 뿔을 표현하였는데 크기와 각도는 각각 다르다. 이 밖에도 귀, 수염, 머리칼 등으로 공간을 메우거나 때로는 얼굴 뿐만 아니라 발까지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귀면기와의 도상은 구체적이면서 무섭게 표현되어 있음은 귀면기와가 갖는 벽사적인 기능을 온전히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삼국시대에 나라 사람들이 처용의 형상을 문에 그려 붙여서 사귀를 물리치고 경사스러운 일을 맞아들이게 하였던 것과 관련 지어 생각할 수 있다. 國人門帖處容之形 以壁邪進慶 『삼국유사』卷 第二 處容郞 望海寺.

오늘날 발굴을 통해 확인된 귀면 기와는 삼국시대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삼국시대 귀면기와는 극히 적은 수에 그치고,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매우 성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김성구, ꡔ옛기와ꡕ, 대원사, 1992, 34쪽.
특히 통일신라시대에는 유약을 칠한 녹유 귀면기와가 많이 제작되었는데, 이는 단지 기능적 의미를 갖는 것 이외에도 그 시대의 풍요로운 사치성까지 덧입혀졌음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귀족문화의 화려함을 장식했던 귀면기와는 고려중기 이후부터는 건축의장의 변화에 따라 점차 쇠퇴하게 된다.

참고문헌
김성구, ꡔ옛기와ꡕ, 대원사, 1992.
김열규, ꡔ한그루 우주나무와 신화ꡕ, 세계사, 1990
김종대, ꡔ한국 도깨비담 연구ꡕ,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1993.
노성환 옮김, 村山智順, ꡔ조선의 귀신ꡕ, 민음사, 1990.
임동권, 『한국민속문화론』, 집문당, 1983
장주근 외, ꡔ한국민속연구논문선ꡕ, 일조각, 1986.
주강현, ꡔ우리문화의 수수께끼ꡕ 2, 한겨례신문사, 1997.
진홍섭, 이부영 외, ꡔ한국의 도깨비ꡕ, 열하당, 1981.
최래옥, 『여보게 김서방』, 미완출판사, 1987.
최인학 외, ꡔ한국민속학ꡕ, 새문사, 1988.
최인학, ꡔ한국설화론ꡕ, 형설출판사, 1998.
Richard Dorson, ꡔFolklore and Folklifeꡕ, The university of Chicago, 1972.
T.K성, 나경수 역, ꡔ구조주의와 해석학ꡕ, 전남대학교, 1998
엘리아데, 이은봉옮김, ꡔ종교형태론ꡕ, 한길사, 1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