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

 1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
 2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2
 3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3
 4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4
 5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5
 6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6
 7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7
 8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8
 9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9
 10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0
 11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1
 12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2
 13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3
 14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4
 15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5
 16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6
 17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7
 18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8
 19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19
 20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깨비] 한국의 도깨비 완전정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도깨비감투설화

3. 도깨비감투 설명

4. 일본의 도깨비

5. 도깨비의 어원

6. 여러 서적속의 도깨비 이야기

7. 도깨비와 귀신의 관계

8. 도깨비의 민간 신앙적 특성

9. 역대 문헌 속에 나타난 도깨비
(1) 고대
(2) 삼국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10. 각 시대별 도깨비 모습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11. 조자용 박사의 도깨비 연구

12. 도깨비 불

13. 도깨비의 모습과 특징

14. 도깨비의 활동 무대

15. 도깨비의 활동 시간

16. 도깨비와 대결하기

17. 도깨비 장난

18. 도깨비의 양면성

19. 도깨비의 허상과 실상

20. 현대에서 중시되는 도깨비 문화
(1) 붉은 악마의 탄생
(2) 붉은 악마의 이름 유래
(3) 우리 문화 속 도깨비와 치우천왕

21. 맺음말

22. 참고자료
본문내용
3. 도깨비감투 설명

이 도깨비감투 설화는 몸에 붙으면 그것을 붙인 사람의 형체가 보이지 않는다는 마술적인 물건에 관한 이야기이다. 신이담에 속하며 주로 머리에 쓰는 감투로 나타나고 있지만 몸에 걸치는 등거리, 또는 풀잎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감투의 기능을 중시하여 '능통감투'라고 물리기도 합니다. 또한 구전설화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어떤 사람이 우연한 기회에 도깨비감투를 얻고 그것을 쓰면 자신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그 사람은 감투를 이용하여 시장에 가서 남의 물건을 훔쳐오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번잡한 곳에서 지나가던 사람의 담뱃불에 감투를 태우게 되어 아내에게 그 부분을 기워달라고 하였더니 아내가 빨간 헝겊을 받쳐서 기워주었고 그것을 쓰고 계속하여 남의 집 물건을 훔쳐왔으므로 마침내 도둑맞은 사람들도 빨간 헝겊조각이 왔다갔다하면 물건이 없어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기다리고 있다가 헝겊이 오자 덮쳐서 붙잡아 감투에 덤벼들어 그 사람을 실컷 때려주었다는 설화이다. 이 설화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에 대하여 기본적으로는 긍정하고 있지만 그것을 충족하는 과정에서의 부당한 방법에는 징계를 가하는 도덕적이고 교훈적인 주제를 지니고 있다. 이 이야기를 한 이유에 대하여 말하자면 필자는 도깨비 방망이나 감투가 있었으면 하고 바라던 시절이 있었다. 할머니의 무릎을 베고 누워 듣던 이야기 속에 등장한 도깨비들은 하나같이 어리숙하고 무섭지 않았다. 사람을 속이기도 하고 사람에게 속기도하는 도깨비 이야기. 그러나 해방과 함께 우리 고유의 도깨비는 사라지고 일본의 '오니'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이에 안타깝게 생각하며 우리의 도깨비를 알리고자 얘기를 한 것이다.

4. 일본의 도깨비

일단 일본의 도깨비에 대하여 말하겠다. 일단 자료 속을 보고 일본의 의, 식, 주를 참고하며 얘기를 하겠다. 일본에서는 세쓰분은 원래 사계절이 바뀌는 계절의 경계를 의미하며, 넓게는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의 전날을 가리키며 특히 입춘 전날(현재는 2월 3 ~4일경)을 중요시하고 있다. 이 세쓰분에는 잡귀를 쫓는 뜻에서 「도깨비로 분장한 이를 쫓는 예능 형식의 행사 」와 「볶은 콩을 되에 담아 뿌리는 형식의 행사 」2가지를 실시한다. 일반적으로는 한 집안의 가장이 「복은 집안으로, 잡귀는 집 밖으로 」라고 외치면서 되에 들어 있는 볶은 콩을 뿌리는 「콩 뿌리기」가 세쓰분 행사로 잘 알려져 있다. 또 잡귀 물리치기와 콩 뿌리기가 혼합된 형태로, 도깨비 가면을 쓴 아버지를 향해서 어린이들이 콩을 뿌리는 형태도 세쓰분 행사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뿌려진 콩을 자신의 나이 수만큼 주워서 먹으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하며, 12개의 콩을 구워 그 구워진 상태를 보고 1년 동안 각 달의 운세를 점치는 콩점 등도 유명하다. 이 세쓰분 행사는 예로부터 큰 변화를 겪으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규모는 가정에서 실시하는 작은 행사부터 절에서 실시하는 대규모의 행사까지 다양하며 지방에 따라 지방색도 풍부하다. 여기에서 보듯 일본의 도깨비는 축제적인 성격이 강하다. 그렇다면 우리의 도깨비는 어떠한가를 보겠다.
참고문헌
한국의 도깨비 연구, 김종대, 국학자료원
저기 도깨비가 간다, 김종대, 인터넷
도깨비 날개를 달다, 김열규, 춘추사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소
한국인 우리들은 누구인가, 김열규, 인터넷
도깨비의 발생과 그 존재 방식, 최길성, 전통문화,85년 12월호
한국 전통 문양 3 도깨비 문양, 안상수, 안그라픽스
하고 싶은 말
깔끔하고 세심하게 잘 정리되어 있는 자료입니다. 지난 한 학기 동안 여러 명의 조원들이 모여 준비한 발표자료로 조원 모두 A와 A+을 받은 레포트이니 여기에 여러분의 의견과 자료를 조금씩만 더한다면 원하시는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