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

 1  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1
 2  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2
 3  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3
 4  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4
 5  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5
 6  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6
 7  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7
 8  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의 지하자원 및 전력 실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지하자원

3. 전력

4.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전력

북한지역은 비교적 풍부한 수력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무연탄 매장량도 풍부해 전력생산에 유리한 입지여건을 구비하고 있다. 수력자원의 경우 연간 총 수자원 량은 약 556억톤인데 이중 85%가 공업용수로, 13%는 농업용수로, 나머지 2%는 생활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공업용수 대부분은 수력발전용으로 이용되는데 수력발전 용수의 총량은 약 430억톤에 달하며 북한 총 수자원량의 77%를 차지하고 있다. 동부지역은 함경산맥에 이어 부전령산맥이 동부에서 서남으로 길게 뻗어있고 양 산맥의 서쪽 경사면이 높으며 개마고원과 백무고원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고원지대를 흐르는 압록강과 두만강 지류인 장진강, 부전강, 허천강, 서두수 등 강하천 은 유속이 완만하고 수량이 풍부하며 양 산맥의 동쪽사면은 동해를 향해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서쪽사면으로 흐르는 하천의 유로를 변경시켜 동쪽사면으로 돌리면 1000미터 이상의 낙차를 얻어낼 수 있는 지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북한연구소, 「북한총람」, 1983, p.837.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북한은 하나의 수계에 여러 개의 발전소를 계단식으로 건설하였으며 또한 내륙으로 흐르는 하천의 유로를 동해안의 급사면으로 보내는 유역변경식 수력발전소를 여러 곳에 건설하였다. 이러한 수력자원을 기반으로 주로 서북부와 동북부의 압록강과 두만강계 하천에 수력발전소를 집중 건설하였다. 또한 수력발전과 함께 무연탄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화력발전에도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화력발전소는 무연탄 생산기지를 중심으로 평안남북도에 집중 배치하였으며 청진화력발전소는 함북 북부탄전, 청천강화력발전소는 안주지구 탄전의 유연탄을 원료로 하고 있다. 한국산업은행, 「북한의 산업」, 2000, pp.252-255.

북한의 전력공업 정책은 50년대까지는 일제시 건설된 수풍, 허천강, 장진강, 부전강
참고문헌
홍성국, 「자력갱생의 기로」, 피씨라인, 2005.
대한광업진흥공사,「북한의 광물자원 보유 및 남북교류현황」, 2004.
북한연구소, 「북한총람」, 1983.
한국산업은행, 「북한의 산업」, 2000.
통일부, 「주간 북한동향」550호, 2001년 7월 28일.
NK조선, 2004.12.28.
국정 브리핑, 2005년 7월 12일.
이상준 외, 「북한의 국토개발 및 관리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국토연구원, 2005.
김경술,「북한 수력발전산업 진출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이규황 외, 「통일한국을 향한 남북한 산업지도」, 전경련 남북경제팀, 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