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학] 남산 삼불사에 관한 분석

 1  [한국문화학] 남산 삼불사에 관한 분석-1
 2  [한국문화학] 남산 삼불사에 관한 분석-2
 3  [한국문화학] 남산 삼불사에 관한 분석-3
 4  [한국문화학] 남산 삼불사에 관한 분석-4
 5  [한국문화학] 남산 삼불사에 관한 분석-5
 6  [한국문화학] 남산 삼불사에 관한 분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학] 남산 삼불사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삼불사 [三佛寺]

산신각 [山神閣]

요사 [寮舍]

보살상 [菩薩像]

배리석불입상 [慶州拜里石佛立像]

삿갓골 석조여래입상 [石造如來立像]

삼릉골 선각여래좌상 [線刻如來坐像]
본문내용

->>불교 사찰에 있는 전각 중 하나.




본문

산신을 모시는 전각이다. 사찰에 따라서는 산령각(山靈閣)이라고도 부른다. 또 삼성각(三聖閣)을 두어 칠성신·독성(獨星)과 함께 모시는 경우도 흔하다. 본래 산신은 도교에서 유래한 신으로, 불교가 전래되기 전에 많이 믿던 토착신이다. 특히 산지가 70%나 되는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 에 이르기까지 산신신앙이 널리 유행하였다. 이 산신이 불교에 수용되면서 호법신중(護法神衆)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불교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것은 삼국시대부터이므로 산신도 비교적 일찍 불교에 수용되었을 것을 여겨지나, 산신각이 세워진 것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이다. 대개 전각의 뒤쪽에 세우며, 크기는 정면1칸, 측면 1칸이 보통이다. 산신각 내에는 산신을 그린 탱화를 모시는데 대개 흰수염, 대머리, 긴 눈썹이 휘날리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손에는 하얀 깃털부채나 파초선·불로초 등을 들고 있고 주로 봉래산·영주산·방장산 등의 삼신산을 배경으로 한다.

한라산이나 속리산·계룡산·지리산 등지의 사찰에는 드물게 여자 산신을 모시는 경우도 있다. 여자 산신은 트레머리에 댕기를 두르고 치마저고리를 입고 있다. 호랑이에 걸터앉거나 기대고 있는 모습이며, 손에는 대개 불로초를 들고 있다. 이밖에 복건(福巾)이나 유건(儒巾)·정자관(程子冠)을 쓰고 지팡이를 든 유교적 산신도 있고, 삭발한 스님이 《묘법연화경》과 같은 불경을 들고 있는 불교식 산신도 흔하다. 이 경우 의상은 가사와 비슷하나 적 녹색이 주류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