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학] 팔만대장경을 통한 고려불교의 특징

 1  [한국문화학] 팔만대장경을 통한 고려불교의 특징-1
 2  [한국문화학] 팔만대장경을 통한 고려불교의 특징-2
 3  [한국문화학] 팔만대장경을 통한 고려불교의 특징-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학] 팔만대장경을 통한 고려불교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팔만대장경의 구성과 조조 목적

Ⅲ. 팔만대장경의 이동

Ⅳ. 팔만대장경에 대한 평가

Ⅴ.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대장경이란 경經, 율律, 논論 등 삼장三藏의 불교경전을 총칭하는 말로, 불교가 융성했던 고려에서는 그에 대한 조조雕造가 국가적인 사업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대장경의 조조는 송나라 태조 개보開寶 4년(971)에 착수하여 태종 태평흥국 8년(983)에 완성시킨 개보판대장경開寶版大藏經을 효시로 한다. 고려 현종조에 시작하여 선종 때까지 70여 년을 두고 고려의 조정이 많은 노력을 기울여 만든 초조대장경이 고종 19년(1232)에 침입한 몽골군에 의해 대구 부근의 부인사에 보관 중 소실되었고, 이에 상하의 군신 모두는 병란이 계속되는 가운데서도 대원大願을 발發하여 다시 대장경을 각성刻成하게 되는데, 이것이 오늘날까지 해인사에 남아 전해오는 이른바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곧 팔만대장경이다. 팔만대장경은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고, 기록유산이며, 수량은 81,258매이다. 또한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다. 현재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팔만대장경은 판수가 8만여 개에 달하고 8만 4천 번뇌에 해당하는 8만 4천 법문을 실었다고 하여 팔만대장경이라고 한다. 우리는 팔만대장경을 통해 고려 불교가 지니고 있는 특색을 알 수 있고, 이것을 조조한 목적과 구성을 약소하게나마 알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고려시대사』수정증보판 - 박용운 지음 - 일지사, 2008
※참고사이트※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1,00320000,38&queryText=V_KDCD=11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