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 패스트 스킨 수영복(전신수영복의 과학적원리와 효과)

 1  [섬유] 패스트 스킨 수영복(전신수영복의 과학적원리와 효과)-1
 2  [섬유] 패스트 스킨 수영복(전신수영복의 과학적원리와 효과)-2
 3  [섬유] 패스트 스킨 수영복(전신수영복의 과학적원리와 효과)-3
 4  [섬유] 패스트 스킨 수영복(전신수영복의 과학적원리와 효과)-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섬유] 패스트 스킨 수영복(전신수영복의 과학적원리와 효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전신수영복의 등장

●전신수영복의 과학적 원리와 효과

●수영복 업체 신제품 개발 경쟁

●상어 비늘 원리 첫 규명 최해천교수


본문내용
●전신수영복의 등장
2000년 시드니 올림픽서 전신수영복을 최초로 착용하고 우승한 이안 소프.
선수들이 입는 수영복은 1960년대에 수영복에 나일론이 도입되면서 본격적인 기록탄생이 시작됐다. 86년 아시안게임 때는 실의 굵기를 가늘게 하는 방법으로 수영복 원단의 조도(거칠기)를 작게 해 물과의 저항을 줄인 제품이 등장했다. 1990년대에 들어선 물보다 가볍고 물에 흡수되지 않는 소재인 폴리플로플렌 수영복이 개발됐다.
목에서 팔까지 한벌로 된 전신수영복이 근래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98년 7월 영국 셰필드에서 열린 영연방대회였다. 대회 참가자 폴 팔머는 독일 아디다스에서 개발한 전신수영복을 입고 이 대회에서 우승함은 물론 1999년 터키에서 열린 유럽챔피언 자유형 400m에서 우승, 전신수영복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켰다. 당시만 해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차원에서의 수영복은 소재에만 관심이 집중됐다. 수영복은 무조건 작은 것만이 최고로 여겨졌다. 작은 수영복이 물의 저항을 적게 받는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전신수영복의 등장은 이러한 생각을 송두리째 바꿔놓은 혁명적인 변화를 몰고 왔다. 1999년 범태평양 수영대회에서 최정상의 호주선수들이 자국 메이커 ‘스피도’에서 개발한 전신수영복(제품명 ‘아쿠아 블레이드’)을 입고 나와 금메달을 휩쓸었다. 이는 곧바로 전신수영복 허용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전신수용복에 대한 조사에 들어간 국제수영연맹(FINA)은 1999년 10월 모든 국제대회에서 전신수영복 착용을 허용한다고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전신수영복의 과학적 원리와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