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

 1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1
 2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2
 3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3
 4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4
 5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5
 6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6
 7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7
 8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8
 9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9
 10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10
 11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11
 12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12
 13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정치론] 북한주민들의 의식변화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주민의 역사인식과 의식변화(해방이후-80년대까지)
1. 1950년대 사회주의적 개조와 주민 통제에 대한 인식
2. 1960년대 국제정세 변화와 군사정책에 대한 인식
3. 1970년대 조직사업 강화와 남북관계에 대한 인식
4. 1980년대 경제 침체와 북한체제에 대한 인식

Ⅲ. ‘고난의 행군’ 이후 주민 생활양식의 변화
1. 시장이용과 화폐경제 활동
2. 생존을 위한 편법과 일탈행위
3. 계층별 생활양태

Ⅳ. 김정일 시대 북한주민의 의식변화
1.돈과 장사에 대한인식
2.사회주의 체제의 자긍심 상실
3.소비의식과 생활문화의식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중앙당 집중지도사업
1956년 ‘8월종파사건’이 발생한 후 김일성은 소련과 중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9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열고 윤공흠 등에 대한 출당조치를 철회하고 최창익과 박창옥 등을 복직시켰다. 하지만 1957년 5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회는 ‘반혁명분자들과의 투쟁을 강화할 데 대하여’라는 결정을 채택하고, 김일성 반대파에 대한 숙청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최창익 등 연안계는 완전히 제거되었고 박창옥 등 소련계도 숙청되거나 소련으로 자진 귀국했다. 1958년 3월 조선로동당은 당 대표자회의를 소집하여 조선로동당 내의 조직을 정비했으며 하부에서는 연안계 등의 ‘종파’ 영향력을 제거하는 작업이 계속 진행되었다. 당력사연구소편, 『조선로동당략사』제1권(서울:돌베게, 1989), p.349-350.

조선로동당은 ‘반혁명분자’, ‘적대분자’를 적발, 처단하기 위한 운동을 전 군중적으로 몰아갔다. ‘승리한 사회주의제도’의 공고화를 외치며 당원뿐만 아니라 전체 인민에게 ‘공산주의 교양’을 강요했다. 1958년 12월부터 1960년 말까지 약 2년간에 걸쳐 실시된 중앙당 집단지도사업은 ‘반혁명분자’의 적발, 처단과 북한 주민의 ‘정치·사상적 성분’파악, 종파투쟁의 지방차원에서의 마무리를 목적으로 했다. 중앙당 집중지도사업으로 주민은 ‘혁명적 요소’, ‘반혁명적 요소’, ‘중간층’으로 분류되었는데 반혁명적 요소는 숙청 또는 감시의 대상이 되었다. 반혁명적 요소의 적발은 자수와 신고를 바탕으로 신원조회를 통해 이루어졌고 소조투쟁 단계로 진입하면서 고문이 자행되고 반혁명 사건이 날조되기도 했다. 반혁명적 요소는 과거의 성분을 기본으로 하여 정치·사상적 성향이 고려되었다. 그 결과 거주제한자인 149호 대상자 8,000영 세대는 자강도, 량강도, 함북 지역으로 이주되었고 각 지방의 사회 안전부에 등록되어 대중적 감시를 받았다. 중앙당 집중지도사업 결과 반혁명적 요소에 해당된 인원은 300만 명에 달했고, 약50%의 간부가 철직(撤職) 또는 강직(降職)되었다고 한다. 김남식, “북한의 공산화과정과 계급노선”, 『북한 공산화과정 연구』(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79),
pp.192-198.

중앙당 집중지도사업은 북한체제가 철저하게 성분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되는 확고한 토대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해방이후 사회질서가 재편 되었지만 중앙당 집중지도사업을 계기로 완전한 성분사회의 틀을 구축하게 된 것이다. 중앙당 집중지도 사업이 전개됨으로써 월남자 가족 등이 불이익을 받게 되었지만, 성분으로 인한 불이익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성분 불량자’를 괴롭혔다. 1950년대의 중앙당 집중지도사업은 지속적으로 북한 주민의 삶을
참고문헌
*단행본

김영윤, 『북한 경제개혁의 실태와 전망에 관한 연구: 개혁의 부작용을 통해 본 북한 체제전환의 성공과제』
(서울:통일연구원, 2006)
당력사연구소편, 『조선로동당략사』제1권(서울:돌베게, 1989)
당력사연구소편, 『조선로동당략사』제2권(서울:돌베게, 1989)
이승훈·홍두승, 『북한의 사회경제적 변화』(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정성장 엮음, 『북한은 변하고 있는가?: 1997 vs. 2007』(세종연구소, 2008)
최수영, 『이후 북한경제 변화전망』(서울:통일연구원, 2004)
최수영, 『북한의 제2경제』(서울:민족통일연구원, 1997)
최완규 엮음, 『북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서울:한울아카데미, 2004)
최완규 엮음, 『북한 ‘도시정치’의 발전과 체제 변화』(서울:한울아카데미, 2007)

*논문


김강일, “북한-중국간 경제사회 연결망 구조”(서울대 통일연구소 제12회 통일학 세미나, 2007.10.23)
김남식, “북한의 공산화과정과 계급노선”, 『북한 공산화과정 연구』(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79)
이주철, “북한주민의 정권인식과 체제선전에 대한 반응”, 『통일문제연구』상반기편(2002)
이주철, “입북재일동포의 북한체제적응에 관한 연구”, 『통일문제연구』제11권 1호(1999)
장미성, “농업협동화 시기 농민의 일상과 내면”(연세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기타자료
연합뉴스, 2000.3.2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