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분단과한국전쟁] 한미유엔군의 북진공격(19)

 1  [남북분단과한국전쟁] 한미유엔군의 북진공격(19)-1
 2  [남북분단과한국전쟁] 한미유엔군의 북진공격(19)-2
 3  [남북분단과한국전쟁] 한미유엔군의 북진공격(19)-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남북분단과한국전쟁] 한미유엔군의 북진공격(19)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전쟁의 개시와 미국

2. 이승만대통령의 희망과 현실

3. 미국의 참전과 북진

4. 한미군의 북한 점령

본문내용
1. 한국 전쟁의 개시와 미국
미국은 1949년 12월 아시아에서 '공산주의의 힘을 봉쇄하고, 가능한 곳에선 감퇴시칸다.'는 전략을 취하였다. 1950년에는 '소비에트 시스템 내부를 파괴할 씨앗을 키운다.'는 적극적인 봉쇄 · 반격 전략으로 바꾸었다. 이러한 변화 사이에는 공산주의자들의 공격에 청신호를 보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는 애치슨의 연설이 존재한다. 그러나 커밍스의 북한이 애치슨의 연설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하는 분석을 보면 북한은 '아시아의 민족해방투쟁에 대한 전쟁을 준비할 의도를 숨기는 시끄러운 합창에 불구하다'는 입장이었다. 일명 '유도'라는 입장에서 생각해본다면, 북한은 애치슨의 유도에 속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커밍스는 애치슨의 연설이 '유도성'이 있었음을 인정하며 김일성이 애치슨의 연설에 영양 받아 전쟁의 최종 결단을 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실제로 북한은 애치슨의 연설을 바탕으로 행동을 결의한 것은 아니지만, 소련은 애치슨의 연설로부터 북한의 행동계획을 승인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미국의 반공 정책을 보면, 미국은 타이완에 공산화에는 반대했지만, 장제스 정권 역시 반대했다. 남한에서도 공산화는 반대했지만, 이승만 정부의 북진계획 역시 경계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승만 정부는 8개 사단 및 1 기갑사단, 미군장비 등을 통해 북한과 대등한 군사력을 키워나가며, 50년 5월 30일 이후 장제스 정부와의 관계 강화 움직임을 보였다. 이승만 정부가 이런 움직임을 보이고 있을 무렵, 월러비의 G2는 1950년 4,5월에 남침이 있을 것 같다는 사실을 워싱턴에 알렸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