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

 1  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1
 2  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2
 3  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3
 4  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4
 5  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5
 6  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6
 7  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7
 8  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태마을이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 -구메농사마을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생태마을의 역사 및 현황
3. 구메농사마을로 보는 생태마을의 가치
3.1. 구메농사마을 소개
3.2. 구메농사마을의 생태계 보전 및 복원활동
3.3 구메농사마을을 포함한 우리나라 생태마을의 한계 및
나아가야 할 방향
4. 결론
본문내용

초기 생태마을은 환경적인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기 보다는 종교공동체 조성이 목적인 곳이 대부분이었다. 대표적으로 1971년 히피지도자 Stephen Gaskin을 주축으로 당시 그를 추종했던 샌프란시스코의 히피들에 의해 설립된 미국의 The Farm을 들 수 있다. The farm의 시작은 종교공동체였으나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환경문제의 대안을 실천적 삶에서 찾고자공동체의 성격을 종교공동체에서 생태공동체로 탈바꿈 하였다. 현재 그들은 GEN의 주요 멤버이다.
그런데 1970년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환경문제의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환경문제의 실천적 대안으로서 생태공동체의 중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인식의 확산은 1994년 국제 생태마을 네트워크인 GEN(Global Eco village Network)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GEN은 세계 곳곳의 다양한 생태마을들과 연합을 이루는 단체로 생태마을 간 교류와 기술 및 정보의 교환 등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공동체적 노력 전반을 지원하는 단체이다. GEN은 유럽과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와 아시아, 그리고 북미와 남미 등 크게 세 지부로 나뉘어져 있고, 총 379개의 마을과 단체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다. 또한 전 세계의 생태마을과 수천 곳의 전통마을을 잇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시민단체들과 연대하고 있다. GEN의 창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가이아 트러스트는 1990년에 설립되었는데, 그들은 1980년대 중반부터 지구적·사회적·환경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비전을 수립하기 위해 100개에 이르는 풀뿌리 운동 단체들이 연대한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진화영, 「지속가능한 삶의 모델, 생태마을 운동」, 󰡔환경과 생명󰡕54, 환경과 생명, 2007, 180-181면 참조.

우리나라의 생태마을 운동은 1999년 녹색연합이 주관한 전국 생태마을 네트워크 구축사업부터 본격화 되었다. 이들은 전국에서 10개의 지역을 선정하여 생태마을 조성계획을 수립하였다. 이후 생태마을은 NGO단체, 종교단체, 지방 정부 등 여러 기관에서 각 기관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상엽·신문보·정건섭, 「지방자치단체의 생태마을 조성방안」, 󰡔韓國土地行政學會報󰡕10, 한국토지행정학회, 2003, 27면.
이 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생태마을은 NGO·종교단체와 주민이 주체가 되어 현성된 생태마을이다. 주민이 주체가 되어 형성된 생태마을은 주로 도시문화권에서 벗어나 생태적 귀농을 꿈꾸는 사람이나 개발로부터 마을 공동체를 지켜나가려는 마을 주민들, 아이들을 위한 문화나 대안 교육문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이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위의논문, 28면.
대표적으로 산청군 신안면에 위치한 안솔기 마을을 들 수 있다.
안솔기 마을은 기존 교육에 대안이 되는 학교로 설립된 “간디학교”의 배후주거지로서, 학부모와 교사 그리고 대안교육과 이념에 동참하는 주민들이 공동체를 형성하여 자아를 완성하고 나아가 이웃과 사회를 위해 봉사하고자 세워진 마을이다. 또한 생활양식과 생산 양식이 자연 생태계와 조화되고 자원, 에너지, 경제적으로 자립 뿐 만 아니라,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안정된 하나의 공동체로서, 주체적이고 지속적인 삶 그리고 세대 간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세워졌다. 조연희·안동만, 「생태마을의 현황과 과제-안솔기 마을을 중심으로-」,『농촌계획 : 한국농촌계획학회지』11, 2005, 56면.
이들은 생태적인 건축양식, 개병 정화시설을 강화하여 수생태계에 보
참고문헌
환경부, 「자연생태우수마을 및 자연생태복원우수마을 지정계획 2007」, 환경부 자연정책과, 2007.
영산강·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영산강 제외지에서의 영농 행위가 수계에 미치는 영향 및 향후 관리 대책 : 2년차 (최종) 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2008.
환경부, 「대체습지의 수질정화기능 강화기술」, 환경부, 2005.

논저
송두범·한무호, 「외국의 생태마을 조성 동향 : 국제생태마을 네크워크(GEN)를 중심으로」, 󰡔국토󰡕245, 국토연구원, 2002. 77-87면.
손상목, 「친환경농업을 위한 21세기 농촌형 생태마을의 국제적 동향」,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11,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 2001. 264-274면.
이상엽·신문보·정건섭, 「지방자치단체의 생태마을 조성방안」,󰡔韓國土地行政學會報󰡕 10, 한국토지행정학회, 2003. 18-49면.
조연희·안동만, 「생태마을의 현황과 과제-안솔기 마을을 중심으로-」,『농촌계획 : 한국농촌계획학회지』11, 2005, 55~65면.
진화영, 「지속가능한 삶의 모델, 생태마을 운동」,󰡔환경과 생명󰡕54, 환경과 생명, 2007. 178-191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