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 준종합주의

 1  [문학사] 준종합주의-1
 2  [문학사] 준종합주의-2
 3  [문학사] 준종합주의-3
 4  [문학사] 준종합주의-4
 5  [문학사] 준종합주의-5
 6  [문학사] 준종합주의-6
 7  [문학사] 준종합주의-7
 8  [문학사] 준종합주의-8
 9  [문학사] 준종합주의-9
 10  [문학사] 준종합주의-10
 11  [문학사] 준종합주의-11
 12  [문학사] 준종합주의-12
 13  [문학사] 준종합주의-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사] 준종합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최현배의 준종합주의 - 최현배의 과 준종합주의 체계의 창설
1. 겨레 얼과 말 연구
2. 에 나타나는 새로운 말본관
3. 말소리갈과 조음 음성학의 확립
1) 근대 조음 음성학의 완성과 생성 음운론에의 영향
2) 낱내(음절)의 형성
3) 소리의 달라짐과 버릇소리
4. 씨가름(품사 분류)체계의 준종합성
1) 씨가름의 준종합성
2) 씨가름(품사 분류)의 이론적 원칙: 구조론과 말본적 의미관의 양면성
3) 씨갈래의 실제
4) 말본 체계의 종합성과 논리성
(1) 종합성과 최초의 끝바꿈(어미활용)확립
(2) ‘끝바꿈’과 ‘도움줄기’ 및 ‘법’ 체계 확립
5. 논리성과 잡음씨(지정사)창설
6. 말본 범주: 도움줄기, 씨끝, 토씨
1) 도움줄기와 말본 범주
(1) 하임(시킴, 사동)의 변형
(2) 입음(피동)과 변별 바탕
(3) 높임법과 등분
(4) 열두 때매김(12시제)와 시상
2) 끝바꿈과 말본 범주
(1) 감목법(자격법), 이음법(접속법)의 통어 (사)적 기능
(2) 마침법과 서법
(3) 토씨의 분류
7. 도움풀이씨(보조동사)의 개척(처음)
8. 월갈의 구조언어학적 처리
1) 월갈의 심리학적 논리학적 이해
2)「월」의 구성요소와 문제
3)「월」의 성분과 「기본」의식
4) 월의 조각의 맞음과 공존관계
Ⅲ. 기타 학자
1. 정인승의 준종합주의
1) 낱말의 뜻 매김
2) 씨가름의 기준
2. 이희승의 준종합주의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씨가름(품사 분류)체계의 준종합성
1) 씨가름의 준종합성
낱말의 뜻매김은 아래와 같이 정의 내릴 수 있는데, 여기서 의 종합적이면서도 분석적인 언어관을 엿볼 수 있다.

“낱말이라는 것은 더 쪼가를 수 없는, 말의 낱덩이이니: 반드시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따로 떨어져서, 말함과 글월을 이루는 직접의 거리가 되는 것이니라.” 최현배, 우리말본. 1959, ㅉ.142.


2) 씨가름(품사 분류)의 이론적 원칙: 구조론과 말본적 의미관의 양면성
최현배의 씨갈음의 원리는 명백하다. 그의 원리는, "말본에서의 구실을 주장으로 삼고,
꼴과, 뜻을 딸림으로 삼는다" 라고 하였다.
“말본에서의 구실”이란 구조적 기능을 말하며, ‘꼴’이란, 형태론적 특질을 말하는데 이 둘은 함께 구조론에 포함된다. 한편, ‘뜻’이란, “말본스런 뜻”을 가리키는 것으로 ‘말이 가지고 있는 공통스러운 뜻’이 씨(품사)의 필요한 뜻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씨갈음의 원칙은 ‘구조론’과 ‘말본의 의미’의 양면 관계로 이해된다.

3) 씨갈래의 실제
은 품사 분류 역사상, 처음으로 그 이론적 원칙을 확립하고, 그 원칙인 구조론과 의미론에 의하여 10품사를 분류하되, 그 범주 개념이 이론적으로 분류되어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4) 말본 체계의 종합성과 논리성
위에서 보인 품사 분류의 특징은, 두 가지로 집약하여 볼 수 있으니, 하나는 종합성이요, 다른 하나는 논리성이다. 논리성은 특히 잡음씨 창설과 관계가 깊다.

(1) 종합성과 최초의 끝바꿈(어미활용)확립
풀이씨의 실질적인 뜻을 가지는 부분인 줄기와 줄기에 붙는 형식적인 부분이 함께 결합하여야만, 비로소 독립한 하나의 풀이씨가 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어간과 어미는 각립한 낱말이 아니라, 한 형태론적 구성요소가 되는 셈이다. 그리고 이 풀이씨는 그 끝이 여러 자기 꼴로 ‘끝바꿈(어미활용)’하며, 이러한 끝바꿈을 하는 것이 풀이씨의 특징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주시경 체계에 견주면 이는 종합성을 띤다.

(2) ‘끝바꿈’과 ‘도움줄기’ 및 ‘법’ 체계 확립
말본스런 처리가 하나의 풀이씨 안에서, 풀이씨의 “끝바꿈”으로 처리된다는 통일성을 가져 온다.
① ‘도움줄기’ 처리
풀이씨의 끝이 바뀌는 부분은 씨끝이요, 바뀌지 않는 중심관념의 부분은 줄기라고 했다. 줄기에는 또 으뜸 뜻을 보이는 부분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뿌리라 한다. 뿌리를 돕는 부분은 도움뿌리(보조어근)가 된다는 것이다. 또 줄기에 붙어서 고정된 불변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말본스런 관계를 표시하는 ‘끝바꿈’을 가지는 경우, 그 줄기에 붙은 부분을 도움줄기(보조어간)라 했다. 이러한 도움줄기 밖의 접미사는 풀이씨의 끝으로 다루었다. 이 끝이 ‘풀이씨의 끝바꿈’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도움줄기 설’은 결국 ‘파생’과 ‘굴곡’으로 다룰 수밖에 없다. 곧, 새로운 낱말을 생성하는
참고문헌
김석득, 『우리말 연구사』, 태학사, 2009.
구현정, 「정인승 선생의 학문」, 한말연구, 1997.3, 한말연구학회
조용욱, 「권두언 - 일석 이희승선생의 명복을 빌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구 통권 제 65호, 제66호 합집, 1990.7, 10쪽~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