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

 1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1
 2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2
 3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3
 4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4
 5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5
 6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6
 7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7
 8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8
 9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9
 10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10
 11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11
 12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12
 13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계외교사] 이슬람 세계질서(칼리프, 술탄, 지하드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Ⅳ.술탄
Ⅱ.이슬람 국제질서 전체적 개괄 Ⅴ. 지하드
Ⅲ.칼리프 Ⅵ. 결론
본문내용
6세기 비잔틴제국과 사산조 페르시아의 대립으로 비단길이 막히자 바닷길의 이용이 활발해졌다. 이 과정에서 도시가 발달하면서 상업귀족의 지배로 빈부격차 심화

① 정통 칼리프 정통이란 용어를 쓰는 이유는 이슬람 기준에서 올바르게 인도를 받은 칼리프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632~661)
- 성립 : 무함마드 사후에 선출된 4명의 칼리프(대리자)가 이슬람국가를 건설하여 통치를 시작했다.
- 흥기 : 아부 바크르(1대 칼리프)와 우마르 1세(2대 칼리프)는 유목민족을 무력으 로 진압하고, 정복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 쇠퇴기 : 3대 칼리프 오스만은 아랍무슬림 계층 간에 심각한 분쟁이 발생하여 살해당하고, 반란군에 의해 4대 칼리프로 추대된 알리는 다른 이들로 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여 1차 내란을 유발하였다. 그리하여 수차례 충돌이 있었으나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알리의 죽음과 옴미아드 왕조 의 창건으로 정통 칼리프 시대는 30년 만에 멸망했다.
- 의의 : 선출에 의한 칼리프, 정교의 일치, 영토적 다원주의가 아닌 종교적 이데올 로기.

② 옴미아드 왕조(661~750)
- 성립 : 무아위야 1세(시리아 총독)는 알리를 타도하고, 세습제 칼리프정권을 수립 하였다. 그리하여 옴미아드 왕조가 성립되었다.
- 흥기 : 옴미아드 왕조는 중앙아시아를 제압하고, 거의 동시에 북인도에 침입하였 으며, 또한 해륙으로 지중해를 공략하고, 콘스탄티노플을 포위하였다. 또 한, 서고트왕국을 멸하고, 에스파냐 제패에 성공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제5대 칼리프 아브드 알말리크 이후 수대에 걸쳐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 쇠퇴기 : 궁핍한 생활을 견디다 못한 피정복민의 울분과 호라산의 반란을 이용한 아바스가의 쿠데타로 멸망하였다.
- 의의 : 칼리프제의 세습.

③ 아바스 왕조(750~1258)
- 성립 : 마호메트가의 일원인 아바스가는 우마이야왕조 타도운동을 일으켰다. 그 리하여 750년, 옴미아드 왕조 최후의 칼리프인 마르완 2세가 피살됨으로 써 정식으로 아바스왕조가 성립되었다.
- 흥기, 쇠퇴기 : 제15대 칼리프 무와파그가 치안회복에 힘쓴 결과, 제국은 경제
참고문헌


로레타 나폴레오니. 『모던 지하드; 테러, 그 보이지 않는 경계』. 시대의 창. 2004
金定慰. 『이슬람의 정치와 종교관』. 아시아문화제5호(pp. 204~205).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89. 9
황병하. 『이슬람 사상의 초기 형성과정에 영향 끼친 정치적 배경』. 한국중동학회논총 제13권(pp. 395~410). 한국중동학회. 1992.
김정위. 『이슬람사상사』. 민읍사. 1987




신문기사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9/28/2009092801608.html?srchCol=news&srchUrl=news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