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

 1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
 2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2
 3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3
 4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4
 5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5
 6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6
 7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7
 8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8
 9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9
 10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0
 11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1
 12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2
 13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3
 14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4
 15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5
 16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6
 17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7
 18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중문화] 텔레비전 속 젠더 재현 방식 및 문제점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여성성과 남성성에 대한 인식

2. 역사적 맥락 - 매춘문화와 유럽의 나체화

Ⅱ. 본론

3. TV 드라마에 나타나는 젠더 재현방식 연구의 출발

4. 아침드라마를 통해 나타나는 기존의 성이데올로기의 재현 방식

5. 장화홍련에서 나타나는 성이데올로기의 구체적인 발현 내용

(1) 성의 상품화

(2) 남성·여성의 고정적인 이미지

① 주요 인물을 통해 나타나는 여성·남성의 이미지

-1) 여성 캐릭터 분석
-2) 남성 캐릭터 분석
-3) 주변 인물에서 나타나는 남성·여성성

6. 시사점

(1) 성의 상품화 관련

7. 대안 드라마로서의 '커피 프린스 1호점'

8. 의의 및 한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좌측 그림은 틴토레토의 이란 그림이다. 여성은 그 스스로의 모습으로 벌거벗고 있는 것이 아니다. 여성은 관람객에게 ‘바라다보이기 위한’ 모습으로 벌거벗고 있는 것이다. (사진 상으로 잘 안 나타나지만) 이는 수잔나가 거울을 통해 자신을 보고 있는 장면인데, 이 경우 수잔나는 스스로에 대한 관람객이 되는 셈이다(주체화 되지 못하는 여성).거울은 많은 경우 여성이 가진 허영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덕주의적 태도는 대부분 위선적이었다. 화가는 벌거벗은 여인을 스스로 즐기기 위해서 그리면서도 모델의 손에 거울을 쥐어주고 ‘허영’으로서 여성을 도덕적으로 비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실상 거울의 본질적 기능은 다른 데 있었다. 거울은 여성으로 하여금 그녀가 하나의 풍경으로 취급된다는 사실에 눈을 감도록 하는 역할을 했던 것이다. 1948년 로베르 드와노(Robert Doisneau)가 찍은 스틸 사진 에는 여성의 시선에 대한 부정을 서사화하는 과정이 완벽하게 담겨있다( 참조). 사진에서 남성은 중심
에 놓여있지 않다. 실상 남성은 사진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좁은 공간을 차지할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진의 문제 틀을 정의하는 것은 그의 시선이다. 여성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삭제하고 있는 것이다. 여성의 시선의 대상은 관객에게는 안 보이는 데 반해 남성이 보고 있는 대상(여성의 나체화)은 관객이 분명하게 볼 수 있게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진 속 여성은 남성적 축을 정의하는 두 극에 싸여 있어 하나의 풍경이 된다.

남성이 벌거벗은 여성을 바라다본다는 방식은 루벤스의 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참조). 파리스는 그가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여성에게 사과를 주고 있다. 즉 아름다움이 경쟁적으로 된 것이다. (오늘날 미인경연대회와 같은 것을 떠올려보자.)

비스듬한 시선, 로베르 드와노

참고문헌
- , 한울.
- 사사마 요시히코(笹間良彦) 지음 / 김인호 옮김, 도서출판 자작.
- 2008 여름 계절학기 [매스컴과 현대사회] 교재 中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