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

 1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
 2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2
 3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3
 4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4
 5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5
 6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6
 7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7
 8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8
 9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9
 10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0
 11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1
 12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2
 13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3
 14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4
 15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5
 16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6
 17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7
 18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8
 19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19
 20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복원과정에서의 생태계 경영의 적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산불이란 무엇인가?
1) 산불의 정의
2) 산불의 종류
3) 산불의 특성

2. 생태적 관점에서 보는 산불의 영향
1) 부정적 효과
2) 긍정적 효과

3. 산불로 인한 생태계 변화 조사의 다양한 방법
1) 위성자료를 이용한 피해 정도 조사
2) 모니터링 조사구 설치를 통한 조사
3) 생태계의 기능 변화 조사
4) 서식지의 물리화학적 변화 조사 방법
5) 토양 미생물의 밀도 변화 조사

4. 산불피해지 복원에서의 생태계 경영 적용
1) 인공복원 vs 자연복원
2) 해외사례
① 미국 옐로우스톤 국립공원 산불
② 호주 빅토리아 주 산불
3) 우리나라 산불피해지의 생태계 경영 적용
① 국내사례 -강원도 낙산사 산불
4) 문제점과 개선방안

Ⅲ. 결론

Ⅳ. 출처
본문내용

3) 산불의 특성
산불은 임상, 지형, 기상 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진다.
임상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면, 초원의 경우 지표화 산불이 대부분이며 연소속도가 빨라 피해 규모가 큰 편이다. 숲은 일반적으로 초원보다 발화율이 낮은 편이나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주변에 수목이나 낙엽 등의 화원이 많기 때문에 진화가 어렵고 산불이 빠르게 확대된다. 활엽수림보다 침엽수림이 잎의 건조 등으로 인한 연소가 쉽고 수관화가 되기 쉬워 산불 위험성이 더 큰 편이며 혼합림의 경우 침엽수 혼재율이 높을수록 연소, 비화 위험이 크다. 유령림(20년 미만)은 빛이 잘 들고 풀이 잘 자라 연소 화재로 발전이 쉽고 장령림(20~60년)은 나무 사이가 긴밀하여 화재가 발생할 경우 수관화로 진행하거나 화원을 유발시켜 화재가 강해지는 경우가 많다. 노령림(60년 이상)은 지표면에 빛이 많이 들어 지표화 유발이 많다.
지형에 따라서도 산불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데 우리나라 대부분의 산지가 해당하는 급경사면에서는 열기류가 산허리를 따라 상승하므로 산불이 쉽게 번지고 소화가 어려워 순간적으로 피해가 커진다. 경사가 급하면 급할수록 상승기류가 격렬할 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회오리 현상의 바람이 불게 되어 규모가 작은 산림이라 하여도 산불 확대가 빠르다. 또한 급경사면에서 진화노력은 불의 연소 속도를 따라갈 수 없고 돌, 지형물질 등의 낙하로 인해 위험이 더해지므로 소화가 매우 어렵다. 방향에 따라서는 남사면 일수록 이런 현상이 더 심하다 할 수 있다. 계곡에서 봉우리를 향해 불어가는 바람은 산불에 산소를 공급하게 되므로 화재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산의 정상을 향해 불어가는 바람의 열기는 수목의 잎이나 가지가 급격히 건조시키고 나뭇잎에서는 휘발성 기체가 발산되므로 부가적으로 산불의 확대를 돕게 된다. 반면 수목 사이로 빠져나가는 풍속이 빠른 바람은 화류를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산불에 있어서는 기상에 따른 특성도 무시할 수 없다. 온도가 낮고 건조한 11월에서 4월까지 산림화재는 빈번히 발생한다. 건조된 공기는 숲의 수분을 빼앗아 화재 위험이 커지는데 습도가 30%이하(건조주의보)가 되면 출화 위험이 커지고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연소 및 비화 위험도 커진다. 일조량은 산지에서 상승기류를 발생시키므로 잠재적 화재위험성을 증대시킨다. 산불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이 큰 기상 요소는 바로 바람인데 가장 강한 바람의 방향은 연소 방향을 결정한다. 또한 풍속이 빠르면 연소속도도 빨라지므로 바람이 산불의 피해 정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2. 생태적 관점에서 보는 산불의 영향

여러 자연재해 중에서 특히 산불은 생태계에 다양하고도 민감한 변화를 준다. 짧은 순간에 급격하게 산림 생태계를 파괴하기도 하지만 다양한 변화를 이끌어 내어 산림 경영의 한 방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예측하지 못한 산불은 목재, 임산물의 소득 손실 등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뿐만 아니라 관광객 감소나 산업 교란 등의 사회적 피해를 가져오기도 한다. 여기서는 경제적, 사회적 측면의 피해보다 생태적 측면에서의 산불의 부정적 효과와 긍정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1) 부정적 효과 산불정보시스템 http://sanfire.forest.go.kr/foahome/user.tdf?a=user.index.IndexApp&c=1007

- 탈산림화, 생물 다양성 감소
- 야생동물 서식지 파괴
- 토양 영양물질 소실
- 홍수피해증가
- 국지기상의 변화
- 산성비와 대기오염 증가
참고문헌

앤드루 가우디, 휴먼 임팩트, 푸른 길, 2007
현신규, 삼림보호학, 향문사, 1975
http://firezero.tistory.com/708 (산불의 종류)
http://blog.naver.com/dev119?Redirect=Log&logNo=140034025376 (산불의 특성)
http://www.kwphoto.com/Resources/Prescribed_Burn.html (지표화 이미지)
http://www.rferl.org/content/article/1073969.html (수간화 이미지)
http://www.foresthistory.org/education/curriculum/activity/activ9/essay.htm
(수관화 이미지)
http://www.werc.usgs.gov/fire/seki/ffs/photos.htm (지중화 이미지)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1040201032302226001(자연복원vs인공복원)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592
http://100.naver.com/100.nhn?docid=15970 (공동목)
http://krdic.naver.com/detail.nhn?kind=korean&docid=40931800 (퐁도목)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010230489 (동아닷컴)
http://www.sanrimji.com/pdf/2009/02/2009021088~1091(1).pdf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숲과 산불/ 임주훈)
http://www.sanrimji.com/contents.jsp?webzine_id=508&item_id=13191&year=1998&month=03 (산림조합 WEBZINE)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0902/09/2009020901348_0.jpg
(2009년 2월 9일 빅토리아주 산불피해지역)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410025017 (서울신문)
http://www.nidp.go.kr/board/download.asp?board_id=RDATA7&num=309
(국립방재연구소 NEWSLETTER 제20호/ 2009. 03/ 이원호)
http://www.nidp.go.kr/DISASTER/download.asp?disaster_id=DSST02&num=107
(2009년 2월 7일 빅토리아 주 산불피해 / 방재기술평가센터)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code=&id=20050406011001&keyword=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3&dir_id=1309&docid=602462&qb=s6u76rvnu+q60r/4wM4=&enc=euc-kr§ion=kin&rank=3&sort=0&spq=0&pid=fYoJrv331xNssbfRi4ossv--187364&sid=Svo7q24q%40koAADnQEWc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6&aid=000001773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259495
http://www.kwnews.co.kr/view.asp?aid=207040300113&s=50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02900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0/06/200910060034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