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

 1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1
 2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2
 3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3
 4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4
 5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5
 6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6
 7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7
 8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8
 9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9
 10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2008년 한국의 엔고 특수 분석 -일본인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1. 2008년 특수 배경분석
1-1. 엔고
1-2. 단카이 세대
1-3. 한류

2. 2008년 특수 당시의 상황
2-1. 2007-2008년 일본인 관광객의 변화
2-2. 면세점매출액의 변화

3. 특수 이후 전망
3-1. 한류전망
3-2. 엔고 전망

맺음말
본문내용
2007년부터 단카이 세대가 대량 퇴직하여 이들이 수령할 퇴직금이 일본의 소비시장을 달구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고 예상 퇴직금 규모는 2007년-2009년 3년간 누계 약 50조~80조 엔이다. 연령별 취업자 수의 상대적 인구분포에 따른 연평균 지급액을 토대로 환산할 경우 약 50조엔 규모第一生命經濟硏究所, “團塊世帶의 定年과 退織金”, 2005.11
, 전원 퇴직할 경우 최대 80조엔 으로 한국의 GDP와 맞먹는 규모의 금액이다. 일본 내에서는 대체적으로 단카이 세대의 퇴직금의 일본의 소비를 활성화시킬 것으로 예측되며, 리서치 전문회사 덴쯔(dentsu)는 직접적인 소비 상승효과는 약 7조 7천억 엔, 파급효과 전체로는 약 15조 3천억 엔 규모로 추정했다.덴쯔(dentsu),“團塊世帶의 退職에 따른 消費經濟 波及效果”
또한 MyKomon 會計事務所會는 퇴직금 유입효과만으로 2007년 소비 0.2%, GDP0.1%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하였다MyKomon 會計事務所會, Weekely Report 2006.5.29



이에 일본 기업, 지자체등에서 일본 고령 퇴직자의 국내 취업, 관광 확대 등을 위한‘對 단카이 마케팅’을 추진하였다. 한국 인바운드 관광업계도 이들을 잡기위한 경쟁에 동참하였다. 퇴직으로 인하여 여가시간이 증가하였고, 2008년 급격한 엔고가 진행되자 이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관광을 즐길 수 있는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단카이 세대의 유입은 2008년 일본 외래 관광객 수요의 증가에 큰 영향을 주었다.

1-3. 한류

한류는 2000년대부터 일어난 일시적인 현상은 아니다. ‘조선문화(朝鮮文化’의 이미지가 어느 순간 한국의 대중문화를 자기식으로 ‘かんりゅ(韓流)’로 부르다가, 다시 한국어 원래의 발음대로 ‘カンリュウ(韓流)'로 부르게 되는 한류는 원래 식민지를 통해서 일본문화 속에 들어온 이국 문화로서의 ’조선 문화‘ ,재일 코리안이나 아주 특이한 일본인, 즉 한국 연구자, 한국에 기업이 있는 사람, 재일 코리안의 친구, 식민지 시절 재조(在朝)일본인이나 그 후세 등이 관심을 가지는 것에 지니지 않았다. 2000년에 들어와서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하는 한국 대중문화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일부 생겼고, 언론에서는 기존의 용어를 일본식으로 읽는 ’かんりゅ(韓流)‘로 소개하고 발음했다. 2004년 이후 일본 대중문화를 선도하는 키워드로 한국 대중문화가 자리를 잡자.’カンリュウ(韓流)‘ 라는 한국어 발음을 채용하였다.

또한 히라타 유키에는 “한류는 특별한 이벤트 현상이 아니라 좀 더 관습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계속될 것이다. 즉 한국 대중문화는 한류라는 특별한 현상이 아니라 일본의 일상적인 풍경에 동화되어갈 것이고 이와 함께 동시간적인 소비도 가속화될 것 이다.” 라고 말하였다.
참고문헌

양길승 『관광경제학』백산문화사 , 2008
양길승 『관광경제학 원론』백산문화사 , 2008
주영하 『일본 한류, 한국과 일본에서 보다』한국학중앙연구원 , 2007
김인중 『최근의 엔高 영향분석과 韓日産業協力 』産業硏究院 , 1993


구본관 외 『정권 교체와 ‘새로운 일본’의 도래 가능성』삼성경제연구소, 2009. 8. 31
정호성 『일본 베이비 붐 세대의 대량퇴직과 시사점』삼성경제연구소, 2007. 2 .12
한국관광통계연보 2006, 2007 한국관광공사


두산백과사전 엔싸이버 , http://www.encyber.com/
통계청, http://www.kostat.go.kr/
한국관광공사 , http://www.visitkorea.or.kr/
우리은행, http://www.wooribank.co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