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의어제와오늘] 1980년대 메타비평

 1  [현대문학의어제와오늘] 1980년대 메타비평-1
 2  [현대문학의어제와오늘] 1980년대 메타비평-2
 3  [현대문학의어제와오늘] 1980년대 메타비평-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의어제와오늘] 1980년대 메타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1980년대 비평
2. 본론
가)메타비평의 특징
나)신진 비평가들 메타비평
다)동시대 비평가들의 메타비평
라)메타비평의 한계
3.결론: 한 개인의 차원을 넘어 집단적 차원의 비평적 성과를 남기기 위해

본문내용
서론 : 1980년대 비평
1980년대는 체계적인 국문학 연구를 한 비평가들이 현저하게 늘어나면서 비평계에도 활력과 양적인 풍성함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국문학 연구 심화에 따른 인력 증가를 가져온 내적요인과 80년대 언론 통폐합으로 인한 평단의 주된 발표매체들의 폐간이 무크지 잡지를 뜻하는 매거진(Magazine)과 단행본을 뜻하는 북(book)이 결합된 합성어로, 잡지와 단행본의 성격을 가진 부정기적인 간행물을 지칭하는 용어. 1971년 런던에서 열린 국제 잡지 협회의 제 18차 회의에서 제출된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미국에서는 매거북(Magabook), 부커진(bookazine)이라고도 부른다
의 대거 출현이라는 환경을 만들고 비평 발표지면의 폭을 넓히는 중요한 외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비평가들은 우리 문학에 대한 통시적인 안목을 통해 다양한 비평적 이념과 방법론으로 복잡한 시도와 비평을 나타낸다. 본고에서는 1980년대 각별하게 주목받고 있었던 비평에 대한 비평 즉 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론
가) 메타비평의 특징
비평의 장르 속성상 메타비평은 언제나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80년대 메타비평이 주목의 대상이 되는 이유는 60년대의 단순한 순수, 참여의 논점 논쟁에서 벗어나 보다 심화된 이론을 바탕으로 비평이 펼쳐졌다고 보기 때문이다. 편중성이나 편향성을 지양하고 독선적인 비평을 비판하기 위한 비평을 하기 위해 인상 비평, 전기 비평, 사회학적인 비평 등의 다양한 비평 이론을 활용했다. 또한 80년대 비평에서는 서로 다른 세계관을 지닌 비평가들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동일한 문학관을 지닌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여러 가지 방면에서 다양하게 펼쳐졌다. 젊은 신진 비평가들의 앞 시대에 대한 비평론 안에서 메타비평의 특징을 찾을 수 있으며, 전면적인 동시대 비평가들 사이에서 행해진 메타비평도 다수 등장하여 80년대 특성을 찾을 수 있다. 민족문학론이 후대의 비평가에게 분화하고 변모되는 양상도 메타비평의 방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문학비평이란 무엇인가』 김광길, 심원섭-국학자료원
『잃어버린 문학사의 복원과 현장』이동순-소명출판 (2005년)
『새로운 비평논리를 찾아서』최동호-나남신서(1990년)
『한국문학 명비평 』김종회 엮음-문학의숲 (2009년)
『비평의자리』 조남현-문학사상사 (20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