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

 1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1
 2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2
 3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3
 4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4
 5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5
 6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6
 7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7
 8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8
 9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9
 10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10
 11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11
 12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12
 13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마인문화사] 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후기 선사시대와 문명의 시작
2.후기 선사시대의 농경생활
3.중국인의 이주?
4.금속의 발전과 야금술의 등장
5.Dongson 문화
본문내용
호아비니아인
중석기 시대의 도구를 만들고 말레이 반도의 동굴과 바위 은신처에 묻힌 사람들로 현재 우리와 같은 호모 사피엔스
처음 발견된 베트남 지역의 이름을 따서 흔히 호아비니안으로 명명됨
발달된 기술능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계를 수렵과 채집에 의존
이러한 경제체제하에서 유랑생활을 하면서 작은 가족단위의 사회조직을 구성
반도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유랑민인 네그리토(Negrito)족들의 생활방식과 유사

후기 선사시대의 농경생활
동남아시아에서는 농경기술이 도입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수렵과 채집이 보조적으로 지속되어왔다
수렵과 채집생활에서 농업과 가축사육을 바탕으로 한 경제로의 전이 시기를 분명히 규정짓기 어려움
초기의 작물재배는 삼림의 일부를 벌채하고 화전하여 그 숲이 원상복귀되기 전에 두세 계절 동안 작물을 재배하는 이주농경방식(swidden)을 취했음
이동적인 생활방식에 있어서 중석기시대의 방랑생활과 비교해 별다른 큰 차이가 없어 고고학적 발굴로 분명히 구별하기 어려움

중국인의 이주?
농경과 가축사육이 말레이시아 혹은 동남아시아 내의 자생적인 문명이 아니라 외부인들이 들어와서 도입된 것이라는 주장이 나옴.
태국 중서부의 Ban Kao와 말레이반도 Kedah의 Bukit Kaplu 그리고 Ulu Kelantan의 Gua Cha 등에서 출토된 유물들과 장례식, 거주유형과 같은 문화적인 특징들이 중국 신석기 유적지 특히 Lungshanoid 문화로 지칭되는 것과 비슷한 점이 많음.
이는 초기의 영농기술이 대대적인 인구이동을 통해서라기보다는 문화적인 접촉을 통해 동남아시아로 이전되었으며 토착인에 의해 현지조건에 맞게 적용되었다는 믿음을 더해 주기 때문이다.
농업의 도입이 사회 혹은 경제적 패턴에 즉각적으로 어떤 혁명적인 동요 또는 변화를 초래하지 않은 점진적인 전이였다고 말할 수 있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