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

 1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1
 2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2
 3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3
 4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4
 5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5
 6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6
 7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7
 8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8
 9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9
 10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10
 11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11
 12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12
 13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13
 14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산림생태학] 대모산 산불 피해지의 식생, 토양변화와 피해지 복구에 유리한 조림수종 제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사

2. 연구 목적

3. 연구대상지 개요

4. 산불 이후 식생, 토양의 변화
4.1 산불 정의
4.2 조사지 산불 유형 분석
4.3 조사 방법
4.4 조사 결과
4.4.1 토양층 분석 결과
4.4.2 매목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한 산불지역 교목층 중요도
4.4.3 매목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한 산불지역 관목층 중요도
4.4.4 대모산 산불지역의 교목, 관목층 수관 투영도
4.5 산불 이후 식생과 토양의 변화에 대한 결론

5. 지위지수를 이용한 조림수종 제시
5.1 지위지수
5.2 지위지수 추정식을 이용한 조사지의 지위지수 산출
5.3 결론

6. 한계점 및 고찰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4.3 조사 방법
조사지에 20 x 20 방형구를 설정하여 교목을 매목조사하고 10 x 10 방형구를 설정하여 관목을 매목조사하였다. 조사 항목은 지형, 사면, 방위, 경사도, 경사향, 배수정도, 노출도, 바람노출도 와 같은 방형구 입지 요인과 수종, 좌표, 수고, DBH, 수관폭 등의 매목조사 항목, 토성, O,A,B층 깊이, 수분량, 유기물량과 같은 토양조사 항목을 포함하였다.

4.4 조사 결과

4.4.1 토양층 조사 결과 비교


아래의 를 보면 비산불지역에 비해 산불지역의 O층과 A층의 깊이는 얕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산불 발생 이후 산림소실로 인한 낙엽, 낙지의 유입이 감소하여 유기물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다.
B층의 경우 2008년의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비교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발생했던 산불의 유형이 지표화였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B층의 피해는 다소 미미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아래의 는 조사 당시 촬영한 토양의 상태를 보여준다.





4.4.2 매목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한 산불지역 교목층 중요도



위의 은 매목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산불 피해지 교목들의 중요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이를 통해 리기다소나무와 같은 상층목은 지표화의 피해를 덜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산불 이후에 교목층 수종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고, 산불 이후에 아까시나무, 물오리나무와 같은 양수 선구수종이 유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2008년의 조사 방형구와 2010년의 조사 방형구지가 다르고, 2008년의 방형구는 10m x 10m, 2010년의 방형구는 20 x 20 이었기 때문에 인과 관계를 확실하게 입증할 수 없는 점이 한계점이었다. 추후에 이 지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때, 같은 위치의 방형구에서 매목조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비교한다면 보다 정확한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4.3 매목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한 산불지역 관목층 중요도


그래프 4- 2

위의 는 관목층 매목조사 결과를 토대로 계산한 관목 수종별 중요도 계산이다.
산불 이후 관목층의 수종이 다양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산불지에서 중요도가 컸던 아까시나무와 신갈나무가 산불 이후에도 중요도가 크게 나타난다. 이는 양수수종인 아까시나무등이 유입되면서 생긴 자연스러운 현상이거나, 새로운 수종이 우점종으로
참고문헌
1. 구교상 외 2명, 2010. ‘동해안 산불피해지 복구를 위한 산림생산력의 추정’.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12권 제1호
2. 한국자원연구소. 1995. 한국지질도.
3. 문정숙. 1999. ‘서울시 주변 도시림에서 경관요소의 분포와 토양환경요인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p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