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

 1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
 2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2
 3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3
 4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4
 5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5
 6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6
 7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7
 8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8
 9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9
 10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0
 11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1
 12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2
 13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3
 14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4
 15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5
 16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6
 17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7
 18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8
 19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19
 20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과학사] 의료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근대보건의료 체제의 등장 배경
*종두법
2. 근대위생론 등장에 따른 보건의료제도의 개편
3. 동도서기적 근대화 정책과 서양식 병원 설립
*조선 후기 : 제중원(광혜원)
4. 갑오개혁기 위생행정의 체계화와 방역활동
*대한제국기 : 광제원과 대한의원
5. 관공병원의 설립과 수위 본위 경영으로 전환-원인
6. 관공병원의 설립과 수위 본위 경영으로 전환-조선총복부의원의 설립
7. 관공병원의 설립과 수위 본위 경영으로 전환-자혜의원의설립
8. 관공병원의 설립과 수위 본위 경영으로 전환-결과
*일제강점기 : 조선총독부 의원, 세브란스 병원
9. 의학교육기관의 정비와 임상의사 양성 교육
10. 의료인 관련 법규의 반포와 공권력 강화
*의사 규칙
11. 해방 직후 병원체계가 이전과 달라진 점과 그 특성
*해방 직후 : 국립 서울대학교 부속병원, 국립의료원
12. 전후 공립 병원과 사립 병원의 증가 추세
13. 참고문헌
본문내용
종두법 = 인두법+우두법

두창(천연두)의 예방접종법

인두법 = 중국에서 기원 18세기 말엽에 수입, 우두법 = 영국 외과의사 제너(Jenner)가 개발, 1830년대 수입

18세기 말엽(1700년대 후반)에 우리나라에 먼저 소개된 인두법이 확산되었다가, 1830년대에 수입된 제너의 우두법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기 시작

우두법은 인두법에 비해 안정성이 높고 효과가 뛰어나지만 인두법에 비해 완전한 우위를 차지하지는 못함
->이유 : 기술적인 면에서 우두 백신을 제조하는데 깊은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는 점, 시대 상황적인 면에서 서학 탄압의 분위기
일본에 파견한 수신사의 조선 사신이 처음으로 일본의 근대위생을 접함, 각종 위생제도 및 위생론의 경험과 함께 서양식 치료의학과 병원에 대해서 경험(1877년 5월 )
->개항 이후에 본격적으로 근대 의학이 도입되고 정착하기 시작

개항 이후 정치체재 개편 도중 혜민서와 활인서가 혁파 (1882년)
->일반적 요인: 국가기구의 효율성 제고
보건의료 내적 측면:
1. 혜민서, 활인서가 조선 후기 많은 폐단을 노출하여 유명무실한 상태.
2. 민간 의료가 크게 성장한 상태에서 똑같은 형태의 의료를 국가에서 제공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었음 .
3. ‘근대위생론’의 등장에 따른 서양 보건의료 제도의 채택을 의도.



최초의 서양식 병원으로 1885년 4월 10일 선교사 알렌에 의해 설립

처음 명칭은 왕립광혜원

‘우정국사건’에서 중상을 입은 민영익을 치료하여 준 것을 계기로 고종은 알렌의 서양식 병원건립 건의를 받아들이고 혜민서(惠民署)와 활인서(活人署)를 혁파하여 1885년 2월 29일 광혜원 설립

1886년, 미국으로부터 여의사 엘러스(Elless,A.J.)가 파견되어 제중원에 부인부(婦人部)를 신설하고 왕실 여인들의 진료

1893년 다시 추가로 파견된 에비슨(Avison,O.R.)에게 인계

1894년 6월 갑오경장의 행정 관제개혁 때 내무아문 아래 위생국(衛生局)을 설치로 종두(種痘) 및 의약전염병예방업무 등을 맡게 하면서 7월 18일 내무아문으로 폐합, 경영권도 완전히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로 이관

그리고 미국인 실업가 세브란스(Severance,L.H.)의 재정지원으로 1904년 세브란스 병원으로 개편되면서 제중원이라는 이름은 자취를 감추게 됨

제중원은 진료활동 외에도 1886년 3월에는 조수 양성을 위하여 16명의 학생을 뽑아 의학교육을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