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

 1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1
 2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2
 3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3
 4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4
 5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5
 6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6
 7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7
 8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8
 9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9
 10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10
 11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11
 12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12
 13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13
 14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14
 15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15
 16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환경과인간] 생식 독성 시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식 독성시험의 정의
2. 수태능 독성 시험
3. 최기 형성 시험
4. 주산 수유 시험
5. 한계 & Reference
본문내용
생식 독성 시험 (Reproductive Toxicology)

의약품 등의 화학물질이 생체에 적용되었을 경우 사람
또는 동물의 생식·발생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동물실험이다.

▶ 생식세포의 발생으로부터 출생 후 성장까지의 영향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의 분화, 발생, 성장, 기능발달, 기형유발성, 수태장애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시험분야를 말한다.
임상증상은 교미확인일로부터 부검시까지 매일 관찰
체중 및 사료섭취량은 임신일로 부터 부검시까지 측정
전부 임신말기에 부검하여 임신지수(항체수, 착상수, 흡수수, 태자의 사망여부, 생존태자의 체중, 성별 등)를 산출하고, 생존태자의 외표이상, 골격 및 내부장기의 기형을 검사
모체 각 기관의 육안적 이상 유무를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병리 조직학적 검사
탈리도 마이드
탈리도마이드는 태생기에 작용하여 형태기형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유럽 등에서 팔과 다리가 없거나 길이가 짧은 기형아가 전에 없이 자주 보고됐다. 이유를 따져보니 1950년대 후반에 유럽에서 임신부의 구토를 진정시키거나 수면을 돕기위해 처방했던 탈리도 마이드가 원인이었다. 이사건을 계기로 의약품의 기형유발 여부를 알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하기 이전에 동물실험을 필수적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제도가 마련되기도 했다.

여드름 치료제 로아큐탄
미국에서 1982년에 여드름을 치료하는 내복약으로 판매되었던 비타민 A
유도체의 일종을 복용했던 엄마에게서 태어난 아이가 머리와 얼굴과 내장
에서 기형이 발생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 일이 있고나서는 이 약물을 임신
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 투여할 적에는 임신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함
과 함께, 투여 중에도 임신하지 않도록 경구피임제를 함께 사용토록 하고
있다.

참고문헌
. http://blog.naver.com/jeon2410?Redirect=Log&logNo=007333646
. 『Pretty Nasty : 유럽 화장품속의 프탈레이트』, 스웨덴 자연 보호 협회(Swedish Society for Nature Conservation), 위해 없는 건강 보호(Health Care Without Harm International), 여성환경연대(Women's Environmental Network; 영국), 2002
. 『국내 화장품 속의 프탈레이트』, 시민환경연구소, 2003
. "Phthalate Q&A" 영국 여성환경연대(WEN) 홈페이지 http://www.wen.org
. 미 환경청 Air toxics 홈페이지 http://www.epa.gov/ttn/atw
. 유럽연합 홈페이지 http://europa.eu.int
. 그린피스 홈페이지 http://www.greenpeace.org
. 『Neutral Comet Assay를 이용한 환경요인으로 인한 프탈레이트의 노출과 인간 정자의 DNA 손상 간의 연관성』, 하버드대학 연구진, U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 건강섹션,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