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1930년대 순수시

 1  [현대시] 1930년대 순수시-1
 2  [현대시] 1930년대 순수시-2
 3  [현대시] 1930년대 순수시-3
 4  [현대시] 1930년대 순수시-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 1930년대 순수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30년대 후반 순수시에 대한 정리ㅡ시문학파 시인
순수문학론의 비판적 관점
백석과 이용악에 대하여
김영랑과 박용철의 관계
신석정에 대하여
〈참고문헌〉
본문내용
30년대 후반 순수시에 대한 정리ㅡ시문학파 시인
김영랑, 정지용, 박용철은 1920년대초 백조류의 감상주의에 대한 극복을 부르짖으면서 시단에 등장, 나름의 독자적인 시세계를 구측하는데 성공하였다. 특시 이들은 시가 언어의 예술이라는 점을 내세워 언어의 조탁과 전통적인 시가 율격에 기초한 시의 음악성 회복에 특별한 관심을 보임으로써 한국어의 시적 아름다움을 극대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들의 시에 대해서 흔히 한국현대시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렸다거나 현대적 서정시를 완성한 것이라는 다소 과장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도 대부분 이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언어와 삶의 근원적인 연관성을 배제함으로써 삶으로부터 유리된 언어의 아름다움에 심취했고, 그 결과 역사와 사회와 유리된 추상적인 서정의 세계 예술지상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시문학파의 시인들은 시인의 섬세한 내면공간을 서로 형상화하는데 있어서 탁월한 능력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경향은 이들의 물질적 토대가 토지소유에 기반을 둔 소자산계급이라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 즉 이들은 대부분 식민지 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라 점차 소멸될 수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던 토착 중소지주 집안 출신이었고 따라서 그러한 몰락의 운명에 대한 예감을, 소멸해가는 것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비가의 형식으로 표현하였던 것이다. 또 이들이 추구한 전통적인 아름다움이란 근본적으로는 식민지 자본주의의 물결 속에서 더 이상 재생산의 기반을 확보하지 못한 채 몰락해갈 수밖에 없는 자기 계급의 운명에 대한 애착을 미화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재용.이상경.오성호.하정일 한국「한국근대민족문학사」한길사, 1993
김봉군.이용남.한상무「한국현대작가론」민지사, 1997
국어국문학자료사전」한국사전연구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