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

 1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1
 2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2
 3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3
 4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4
 5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5
 6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6
 7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7
 8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8
 9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9
 10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10
 11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11
 12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12
 13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13
 14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14
 15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어영문학]`귀향`에 나타난 억압적 힘의 양상-가족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의 부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spects of Coercive Power in The Homecoming: Family Ideology and the Absence of a Mother-figure

인용문헌
본문내용
제씨(Jessie)를 잃고 그녀의 빈자리를 의식하지 않으려고 가족들은 집의 외형을 변화시켰지만 그녀의 존재가 여전히 그들에게 침투해 있다. 결국 제씨의 죽음과 언어 속에서 그녀의 현존은 양면성을 지니고 교묘히 결합해 나간다. 남편 맥스 뿐만 아니라 시동생 샘(Sam), 그리고 세 아들에 이르기까지 제씨에 관한 회상은 반복되고, 그녀는 가족들의 언어 속에 그대로 남아 있다. 사실상 제씨는 이 극에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다른 가족의 의식 속에 가장 중요한 존재로 남아 있다. 가족 하모니를 위해서 제씨가 자식들에게 행한 사회화 교육에 대한 맥스의 칭찬에서 볼 수 있듯이, 어머니의 중요성은 가족들에 의해 부각된다.
어머니가 없는 가정, 여성이 부재한 남성들만의 공간이 된 맥스 가정은 마치 “정글의 분위기”를 연상시킨다.(Cahn 55) 아버지와 아들의 적대감은 그들이 구사하는 첫 장면에서부터 뚜렷이 나타난다. 아버지의 질문에 대한 아들 레니(Lenny)의 무반응과 함께 폭력적이고 비도덕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무례함에서 부자 관계의 실상을 짐작할 수 있다. 맥스가 거의 잔소리에 가까운 대사를 반복하는 것은 다름 아닌 아버지의 권위와 위엄이 상실되었다는 증거다. 예를 들면, 레니에게 담배 한 개피를 요구하다 무시당한 맥스가 스스로 호주머니 속에서 담배를 꺼내는 장면은 나약한 아버지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의 행동은 아들의 관심을 얻기 위한 것이거나 아니면 아들이 자신의 명령을 따르는지 확인을 위한 것이다. 레니가 아버지의 요청을 거절하고 극히 간단 명료한 대답으로 대응하는 것은 자신이 아버지보다 강자임을 암시한다. 실버스테인은 레니의 태도로 비추어 볼 때 그가 맥스를 라캉(Jacue Lacan)이 설명하는 ‘상징적 아버지’로 인정하지 않는 결과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권택영. 『자크 라캉: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1994.
르메르, 아니카. 『자크 라캉』 이미선 역, 문예출판사, 1994.
사럽, 마단. 『알기 쉬운 자끄 라깡』 김해수 역, 백의, 1994.
Althusser, Luis. Lenin and Philosophy. Trans. by Ben Brewster. New York: Monthly Review, 1971.
Cahn, Victor L. Gender and Power in the Plays of Harold Pinter. New York: St. Martin’s 1993.
Diamond, Elin. Pinter’s Comic Play. Lewisburg, PA: Bucknell UP, 1985.
Dukore, Bernard F. Harold Pinter. London: Macmillan, 1982.
Esslin, Martin. The Theatre of the Absurd, Middlesex: Penguin Books, 1962.
Irigaray, Luce. Trans. by Catherine Porter. This Sex Which is Not One, New York: Cornell UP, 1985.
Kellie, Harrison B. “Vision and Gender: Looking Relationships in the Plays and Teleplays of Harold Pinter.” Diss., U of Delaware, 1994.
Lacan, Jacques, Trans. Alan Sheridan. Ecrit: A Selection. New York: Norton, 1977.
Pinter, Harold, The Homecoming, in Plays Three. London: Methuen, 1978.
Quigley, Austin E. The Pinter Problem. Princeton: Princeton UP, 1975.
Silverstein, Marc. “One for the Road, Mountain Language and the Impasse of Politics.” Modern Drama 34 (1991): 422-40.
___. Harold Pinter and The Language of Cultural Power. Cranbury: Associate UP,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