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간척 사업의 현실

 1  새만금간척 사업의 현실-1
 2  새만금간척 사업의 현실-2
 3  새만금간척 사업의 현실-3
 4  새만금간척 사업의 현실-4
 5  새만금간척 사업의 현실-5
 6  새만금간척 사업의 현실-6
 7  새만금간척 사업의 현실-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새만금간척 사업의 현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새만금 간척사업이란

1. 새만금 사업의 전개

2. 간척사업 현황

3. 간척사업의 장단점
< 장 점 >

< 단 점 >

Ⅲ.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한 입장

1. 찬성 입장

2. 반대 입장

Ⅳ. 해외사례

1. 네덜란드의 Delta Project
① 조성목적

② 진행과정

2. 아키타 간척지(秋田, 일본)
① 배경

② 최근 동향

Ⅴ. 새만금 간척사업의 이상 징후들

Ⅵ. 결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2. 간척사업 현황
위치 :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일대 갯벌
개발면적 : 40,100ha-여의도의 140배 규모(토지조성 28,300ha, 담수호 11,800ha)
사업기간 : 1991년-2004년(공사기간은 향후 늘어날 것으로 보임.)
사업비 : 2조 510억원(현재까지 9,000억원 이상이 방조제 공사와 보상비로 지급된 상황, 전체 공사비는 공기연장과 환경시설의 추가로 늘어날 것임.)

3. 간척사업의 장단점
< 장 점 >
① 국토면적 증가: 40,100㏊의 면적이 생기며 도로. 주택. 산업용지 등으로 전환됨
② 쌀 식량 생산 증가: 간척 후 농경지로 전환 된 새만금의 쌀 수확량은 연간 14만 톤으로서 우리나라 인구 150만 명이 일 년 동안 먹을 수 있는 분량임. 국민 1인당 경지면적이 세계평균 0.25㏊의 16% 수준인 0.04㏊에 불과, 식량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는 현실에 대안.
③ 수자원 확보: 11,800ha의 담수호를 조성하여 연간 10억㎥의 수자원을 확보.
④ 상습 침수피해 지역 완전 해소: 방조제 축조로 상류 만경강. 동진강유역 12,000ha의 상습침수지역 완전해소.
⑤ 육운 개선(66km) 및 종합 관광권 형성: 방조제에 도로설치로 새로운 교통망을 구축하여 부안에서 군산이 가까워지며, 위도를 비롯한 여러 섬들이 방조제와 연결.
⑥ 관광자원 개발: 군산, 고군산군도, 변산반도, 백제 문화권 등의 종합 관광권 형성. 또한 방조제와 엄청난 간척지는 그자체로 관광자원화.
⑦ 고용창출: 사업을 하려면 많은 인원이 필요. 그러므로 사업시행 기간 중 연13,390천명의 고용이 창출되어 경제발전에 이바지.

< 단 점 >
① 갯벌의 파괴: 서해안 갯벌은 그곳에 사는 각종 다양한 생물체와 그 넓이, 훼손되지 않은 원시형태로 인해 세계에서도 가치 있는 갯벌로 분류되어있는데 그 귀중한 갯벌이 사라지게 됨.
② 주변 어민들의 생계위협: 갯벌에서도 많은 금전적 수입. 그 주변 어민들은 이 갯벌에서 많은 어패류와 갯지렁이, 해초류 등을 수집하여 생계를 유지. 이것은 모두 갯벌을 이용하여 수입을 벌어들이는 것. 갯벌이 사라지게 되면 그만큼 이곳에서 금전적 수입을 올리던 어민들에게 피해. 물론 국가에서 보상은 해줌.
참고문헌
김홍래,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밭 갯벌 - 새만금 간척 사업 찬반논쟁 팽팽, 과학동아 2003
이주향, 새만금 정책을 문화철학적 관점에서 진단하다- 김지하의 생명철학의 관점중심으로,철학과현실, 2004
전승수, [기획]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 없나, 과학동아, 2005
조태경, 새만금- 재앙은 시작되었다, 환경과생명, 200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