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

 1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1
 2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2
 3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3
 4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4
 5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5
 6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6
 7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7
 8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8
 9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9
 10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10
 11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11
 12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12
 13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13
 14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14
 15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15
 16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16
 17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물리현상] 양자역학과 쉬뢰딩어의 고양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슈레딩거의 고양이란?

⊙양자역학의 역사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행렬역학의 등장
슈뢰딩거와 파동역학
불확정성원리와 상보성원리
보어-아인슈타인 논쟁
최근의 논쟁들

⊙확률만을 알 수 있다

⊙양자역학과 불확정성의 원리

⊙생활 속의 불확정성의 원리

⊙양자역학 이론
광전효과
원자 스펙트럼
불확정성 원리와 파동함수
터널링
Pauli 배타율과 전자의 양자수

⊙정리하며 : 슈레딩거의 고양이와 불확정성원리
본문내용
⊙슈레딩거의 고양이란?

☞물리학 용어. 불확정성 원리에 관한 사고(思考) 실험의 하나. 고양이를 상자 안에 넣고 양자 역학적인 스위치로 독가스를 흘려보낸다고 하자. 이때 고양이가 살아 있는지 죽어 있는지는 예측할 수 없다는 것.

⊙양자역학의 역사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양자역학의 형성에 기여한 하이젠베르크는 1901년 12월 5일 독일 뷔르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 뒤 1910년 고전어와 그리스 문헌학 선생이었던 그의 아버지가 뮌헨으로 자리를 옮기었기 때문에 그는 1911년 막스 플랑크가 나온 명문학교인 뮌헨의 막스밀리안 김나지움을 들어가게 되었다. 그런데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중에 하이젠베르크의 아버지는 예비역 보병장교로 소집됐기 때문에 전쟁 중 거의 대부분 집을 떠나 있었다. 이렇게 하이젠베르크는 어렸을 때 부모의 보살핌이 거의 없이 줄곧 혼자서 공부했다. 김나지움을 졸업할 때까지 그는 미적분학, 타원함수 등을 독학으로 배웠으며, 정수론에 관한 논문을 출판하려는 시도까지 했었다. 이렇게 기성세계로부터 단절됐던 것이 후일 하이젠베르크의 독창적인 사상의 출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 1차 세계대전이 패전으로 끝난 뒤 독일의 젊은이들은 패전 후 낙심에 차있던 구세대들을 불신하고, 자기들끼리 무리를 지어 다니면서 크고 작은 공동체를 형성하고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새로운 길을 찾아나갔다. 즉 구세대는 이미 부수어졌고 따라서 새로운 세계는 기성세대가 아닌 젊은 신세대가 주축이 되어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하이젠베르크 자신도 당시에 청년운동의 지도자로서 이런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했다. 이런 것을 고려한다면 자연과학적인 세계상의 변환과 당시의 사회적 현상 사이에는 일종의 사회심리학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하지 않았는가 하는 추측을 배제할 수 없다.
김나지움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하이젠베르크는 1920년 뮌헨대학에 입학했다. 처음에 그는 수학을 공부하려고 했으나, 수학교수였던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Ferdinand von Lindemann)이 그를 고등세미나에 참가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좀머펠트의 고등세미나에 참가하게 되면서 물리학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뮌헨대학에서의 첫 학기때부터 하이젠베르크는 사고에 있어서 대담성과 독창성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뮌헨대학에 갓 입학한 하이젠베르크는 좀머펠트의 세미나에서 이 이상제만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1/2, -1/2의 양자수를 도입했다. 이런 설명은 양자수를 원자의 정상상태에서 나타나는 정상파로 비유해서 이해했던 좀머펠트에게는 깜짝 놀랄 일이었다. 즉 당시의 고전 양자론에서는 양자수가 1,2,3,4,...와 같은 정수만을 허용했지, +1/2, -1/2과 같은 분수는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이젠베르크의 친구였던 파울리는 만약 1/2이 양자수가 된다면 1/4, 1/8, 1/16도 똑같이 양자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그 주장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서 하이젠베르크는 "성공은 수단을 정당화한다"고 응변하면서 자신의 방법의 타당성을 주장했다. 하이젠베르크가 1/2 양자수를 도입한 것은 현대적인 의미의 스핀의 도입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는 이 1/2의 양자수의 원인을 전자의 자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원자핵 가까이에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괘도전자의 상대론적 효과에 의한 것으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이것을
참고문헌
http://psl.korea.ac.kr/~jpchoi/songs/lecture/science9.html
http://www.cheju-o.ed.cheju.kr/vrclass/wavemap/wavemap.html
http://www.honam.ac.kr/~cslee/강의/chap2/chap2_1.html
http://postech.ac.kr/press/mss/c8/c8s3bot.html
http://education.chonnam.ac.kr/~physe여/lecture/electro-physics/전자고체물리5.html
http://physics.kongju.ac.kr/phyedu/profes/~ybkim/mphy/quantum.htm
http://www.lassp.cornell.edu/~ardiouis/dissipative/schrcat.html
http://infoseek.go.com/title?qt=schredinger
http://www.mtnmath.com/fag/meas-qm-3.html
슈레딩거의 삶 월터무어 사이언스북스
양자역학 고려대 물리학 교수역 에드텍
일반상대론 이철훈 민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