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

 1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
 2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2
 3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3
 4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4
 5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5
 6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6
 7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7
 8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8
 9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9
 10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0
 11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1
 12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2
 13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3
 14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4
 15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5
 16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6
 17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7
 18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화법의 정의

Ⅲ. 화법의 유형
1. 형식적 기준
1) 전달 수단에 따라
2) 화·청자의 규모에 따라
3) 화·청자 관계에 따라
4) 화1청자의 상관성에 따라
2. 내용적 기준
1) 공식성(=격식성) 유무에 따라
2) 동기에 따라
3) 주제 내용에 따라
4) 표현 방식에 따라
5) 화법의 요소와 그 기능에 따라
6) 내용 전개상의 기법과 어법 등의 말투에 따라
7) 화법 관련 낱말밭에 따른 화법 유형

Ⅳ. 화법지도(화법교육)의 절차

Ⅴ. 화법지도(화법교육)의 내용
1. 화법의 이론
1) 화법의 본질
2) 화법의 원리
3) 화법의 태도
2. 화법의 시제
1) 대화
2) 연설
3) 토의
4) 토론
5) 면담

Ⅵ. 화법지도(화법교육)의 문제점

Ⅶ. 화법지도(화법교육)의 사례
1. 화법의 중요성
2. 음성 훈련
3. 표준 발음법 훈련
4. 의례적 언어 사용례 수집과 반성
5. 한국인의 말과 국민성 조사
6. 말의 치유 능력 사례 수집
7. 웅변가 연구
8. 연설문 분석
9. 연설하기
10. 전화 언어의 문제 발표
11. 부탁 거절법
12. 연극 해보기
13. 토의·토론 참관과 실습
14. 유명 토론 사례 수집과 모의 토론하기
15. 가정 언어의 문제점

Ⅷ. 화법지도(화법교육)의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우리 화법 교육의 경우 언어적 의사소통에 치우쳐 있다고 본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경우 억양, 자세, 시선 등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적절한 억양으로, 올바른 자세로, 적절한 시선으로’ 등으로 규정하고 어떤 것이 적절하고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 교육하고 있지 않다. 이점은 ‘효과적인 방법으로’ 따위로 언급해 놓은 전략의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다. 어떤 억양이 적절하고, 어느 정도 공간적 거리가 효과적이고,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 특히 우리의 문화적 배경에서는 어떤지 체계적으로 체득하도록 하여야 한다.
Richmond외에 의하면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190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야 많은 관심을 갖기 시작한 분야로 의사소통 상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시 말해 상대에 의해 일정하게 해석되고 의미 부여되는 의사소통적 행위(communicative behaviors)를 가리킨다. 이것들은 구체적으로 의사소통 상호작용에서 의사소통자들에 의해 일정하게 해석되어 의의를 가지게 되는 환경 요인, 인간 공간, 외모, 제스처나 몸자세, 신체 접촉, 표정, 시선, 목소리, 침묵과 같은 것들을 다룬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화법 교육에서 다루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이옥련․민현식외에서는 의사소통을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나누고, 이 가운데 언어적 의사소통은 음성적 의사소통으로서 이 음성적 의사소통이 바로 화법이라고 규정하여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화법의 영역에서 제외하고 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언어적 의사소통은 항시 연관되어 해석되고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어찌 보면 편의상의 장치일 따름이다. 특히 화법에 대한 교육에서 이 둘 가운데 언어적 의사소통만을 다룬다는 것은 마치 걷기를 가르치며 다리 한 쪽에 대해서만 가르치는 것과 같다고 본다. 화법 교육이 타당하고 효율적인 화법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라면 타당하고 효율적인 것이 언어적 의사소통에만 적용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사실 그 일부가 이미 화법 교육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바른 자세, 똑똑한 목소리’ 등과 같은 것들은 언어적 의사소통의 영역에 드는 것이 아니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영역에 드는 것들이다.
화법의 경영 전략적인 측면들이 실제로 화법 교육에서 이미 다루어지고 있기는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마찬가지다. 토론, 회의와 같은 것들이 화법에서 다루어진다면 토론의 규칙, 회의의 규칙 등이 다루어지지 않을 수 없고 이런 규칙은 엄밀한 의미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의 영역이 아니라 말하기의 경영 전략적 측면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 청중을 고려하기와 같은 말하기의 경영에 관한 내용들도 이미 화법의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결국 화법 교육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측면과 의사소통 경영 전략의 측면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이것이 국어과 화법 교육에서 학생들의 사회적 성장 단계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체득하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참고문헌
김종택 외(1998), 화법의 이론과 실제, 정림사
권순희(2001), 대화 지도를 위한 청자 지향적 관점의 표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국어연구원(1992), 표준화법, 조선일보사
박영목(2000) 의사소통 맥락과 전략
성환갑 외(2001), 삶을 함께하는 국어화법, 동인
전영우(1987), 국어화법론, 집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