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

 1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
 2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2
 3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3
 4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4
 5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5
 6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6
 7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7
 8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8
 9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9
 10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0
 11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1
 12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2
 13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3
 14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4
 15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5
 16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6
 17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7
 18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8
 19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19
 20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에 입각한 아내학대가족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경험적 가족치료 개요

2. 주요 인물 소개

3. 주요개념

4. 정상가족과 역기능가족

5. 치료 목표

6. 치료 기법

7. 가족치료과정

8. 경험적 가족치료의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6. 치료 기법

경험적 가족치료가 다른 가족치료와 다른 점은 변화를 위해서는 가족의 상호작용을 증대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경험적 가족치료자는 가족 개개인의 경험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정직하고 친밀한 가족 상호작용을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경험주의 치료사들은 치료기법의 활용에 따라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한 집단은 치료에서 강하게 감정적인 면을 자극하기 위해 가족조각과 안무 같은 구조화된 기법을 사용한다. 다른 한 집단은 휘태커와 같이 치료사가 내담자와 함께 할 때 나타나는 자발성과 창조성에 의존한다. 이 두 가지 전략에 깔려 있는 것은 치료사는 지금-여기에서의 감정과 경험을 치료에 사용해야 한다는 생각들이다.

1) Whitaker의 상징적 기법

 그의 치료의 초점은 성장이다. 그는 기법이란 치료자와 가족 사이의 자발성과 창조성에 의존한다고 보았다. 휘태커는 치료자가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어 그들의 경험을 함께 나눔으로써 가족에 합류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어떤 기법을 활용하든지 간에 경험적 가족치료자는 지금 여기에서 강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 그들의 기법은 가족이 방어를 줄이고 정서적인 자발성과 성실성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휘태커는 가족은 허약하기 때문에 치료자는 가족이 깨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는 생각은 사실이아니라고 주장하였다. 오히려 치료자는 보다 강력한 개입을 하여 가족이 강한 정서적 경험을 체험하도록 해야한다고 보았다.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지금-여기에 관심이 있으므로, 가족사나 형식적인 사정을 하지 않는다. 경험적 가족치료자는 가족성원 각각의 가족에 대하여 그리고 가족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에 대해 가족들에게 물어 본다. 가족치료자의 임무는 3세대 가족에게 건강한 분리와 자율성을 동시에 유지시키도록 돕는 것이다. 휘태커는 부모, 자녀, 조부모, 이혼한 배우자들을 포함하는 더욱 큰 가족망과 적어도 두 번은 만날 것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가족치료는 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이야말로 개인을 변화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다세대집단은 변화의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2) 공동치료의 중요성

참고문헌

V. Satir, The New People Making, Palo Alto, California: Science & Behavior Books, Inc, 1988.
V. Satir, 성민선 역, 사람 만들기, 서울: 홍익제, 1987.
V. Satir, 김만두 역, 가족치료의 이론과 기술, 한국사회복지연구소, 1977.
V. Satir, 성민선 역, 사람 만들기, 서울: 홍익제.
Virginia Satir, John Banmen, Jane Gerber, Maria Gomori 저, 한국 버지니아 사티어 연구회 역, 사티어 모델,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2000.
김용태,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2000.
김유숙,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998.
김유숙, 가족상담, 학지사, 2000.
김종옥 역,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1998.
조흥식 외, 가족복지학, 학지사, 2006.
신은주, “아내학대의 실태 및 '가정폭력 방지법(가칭)'”, 사회복지연구, 평택대학교, 1995.
송성자,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2002.
송성자, 정문자,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4.
송정아 외12인, 행복한 치유자, 한국가정사역연구소 편, 서울: 청우, 2000.
이원숙, “쉼터 거주 아내학대 피해여성을 위한 지지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2집, 2001.
한재희, 상담패러다임의 이론과 실제, 교육아카데미, 2004.
유숙, 가족상담, 학지사, 2000.









김 용태 (2000).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김유숙 (1998).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김종옥역 (1998).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송 성자 (2002).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