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

 1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
 2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2
 3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3
 4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4
 5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5
 6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6
 7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7
 8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8
 9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9
 10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0
 11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1
 12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2
 13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3
 14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4
 15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5
 16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6
 17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7
 18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8
 19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19
 20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사회와 미디어] 미디어법 & 미디어 독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미디어법이란?  
1) 미디어법에 관한 개괄적 소개    
2)  신문법과 방송법을 중심으로 한 현행과 개정안    
2. 미디어법에 관한 찬반여론
  1) 찬성   2) 반대    
3) 미디어법 보도에 관한 프레임 분석
4) 한나라VS민주당 미디어법 대결 동영상      
3. 미디어 독점의 사례들
1) 국내: 조중동 VS 한겨래, 경향 ,  KBS, MBC, SBS 3사 방송사의 독점 등 
2) 해외: 미국의 자본력으로 인한 미디어 독점 (거대 글로벌 미디어화), 이탈리아의 미디어 독점 사례      
4. 해결방안 제시 및 우리의 의견    
본문내용
2) 반대

- 미디어법을 개정할 시(겸영규제) 방송과 신문이 다른 방향, 다른 시각으로 보는 경향이 사라지게 됨.
이는 곧 정보가 빅브라더에 의해 조종될 수 있는 위험성을 떠안는 것.


- “실제 미디어는 경영주 + 광고주임. 현재 상황으로만 해도 광고주에 의해 방송이 좌지우지 되는 상황인데 광고주가 실질적인 방송에 주인이 된다면 특정 시각에 치우치게 되는 것이 필연적”

(유시민, 전 국회의원 강연 중)
- 겸영에 대해 규제를 하지 않는 국가는 OECD 내에서 일본이 유일
- 언론의 기능: 경제적 논리 < 공공성
-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대형신문사들의 방송사의 소유
=여론의 다양성 침해
- 3개 이상의 주주가 지분을 20%씩 소유하게 되면 충분히 과반을 넘을 수 있고, 따라서 방송에 대기업의 의사가 반영 가능
- 이미 케이블 방송에 진출한 대기업
- 정언유착 = 정부가 언론을 통제하게 될 가능성
: 결국 대기업들이 미디어를 독점할 것이고 이로 인해 정권이 언론을 장악하기 더 쉬워질 것이다.

수업과의 연장선
보도 형식에 따른 프레임은 아이엔가와 사이먼의(Iyengar, S & Simon, 1993)의 연구에서 제시된 프레임에 따라 주제적 프레임과 일화적 프레임 두 가지로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 일화적 프레임이 주제적 프레임의 두 배 이상
-이는 한국 언론이 극적인 요소나 갈등을 부각시켜 사안을 묘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방증


*문제점은?

*독점의 발생 → 매체자본 + 정치권력

수업의 연장선 ▶

*미디어는 우리사회에 존재하는 모든 정체성들을 다 반영하고 승인하지 않는다(Heider 2003) → 고정관념(stereotyping)은 여전히 有.
*Identification은 개인이 그들의 정체성을 창조하는 하나의 방법.
중요한 것은 Identification이 사회적 영향의 수단으로 누군가에 의해
의도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는 것.

참고문헌
참조 -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방송영상학과 2010.02 윤영혜
논문
이민규, 동서언론, 2003. NO7. P129~145  -한국과 외국의 독점 미디어 기업을 중심으로-